자질 논란을 빚어왔던 박명순 원장의 징계 여부를 판가름할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경가연) 이사회가 4일 열릴 예정으로 결과가 주목된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도 감사 결과에 따른 박 원장의 징계 여부를 단일 안건으로 상정, 처리하게 된다.
결과는 정관에 의해 원장직 해임과 유지 중 하나가 되며 전체 이사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같은 표를 던져야 한다.
이사회는 총 8명의 이사 가운데 퇴임한 이배용 이사장과 개인 신상과 관련된 박 원장을 제외, 도 실·국장과 외부 교수 각 3명으로 구성되며 연장자 순에 따라 고순자 도북부청 복지여성실장이 의장 직무를 대행하게 된다.
일단 해임과 유지, 어느쪽으로 결론이 나더라도 도는 책임론을 피할 수 없는 형국이다.
이사회가 박 원장의 해임쪽으로 결론을 낼 경우 도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
또 이사회 결과에 대한 박 원장의 불복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
반대의 결론이 도출되면 도의회와 경기여성연대 등으로부터 도의 허술한 산하단체 관리·감독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는 상태다.
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는 지난달 경가연 박 원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업무보고 및 관련 예산 심의를 거부한 바 있고, 경기여성연대·경기여성단체연합·경기자주여성연대 등 도내 여성단체들도 지난 9월 경가연 사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 바 있다.
경기여성연대 등은 3일 도의회에서 박 원장의 퇴임을 다시한번 촉구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도와 박 원장 간 ‘빅딜설’도 나돌고 있다.
이번 이사회에서 박 원장의 해임을 보류하는 대신 이사회 이후 박 원장이 자진 사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는게 요지다.
그동안 도 감사 결과 등에 강하게 반발했던 박 원장이 최근 연구원 내에서 자진사퇴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진데다 겸직 위반에 대한 도 책임론을 피할 수 없게 되면서 해임 강행시 행정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압박 등으로 인해 이같은 빅딜설을 부추기고 있다.
한편, 도는 소속 연구원들의 연명 진정서가 접수되면서 경가연에 대한 감사를 벌여 ▲일본 출장경비 수령의 부적정 ▲이사장의 승인없이 다른 직무 겸임 ▲연구원들에 대한 폭언 및 인격적 모독 ▲논문 대필 지시 ▲출장 및 휴가 근무상황부 미기재 등 윤리·행동 강령 등을 위반한 사실을 적발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10월 경가연 이사회에 박 원장의 징계처분을 요구, 같은달 29일 이사회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박 원장이 도 감사 결과가 부당하다며 재심의를 요청해 연기됐지만 재심의에서도 당초 감사와 같은 결과를 도출, 지난달 21일 경가연에 이를 통보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