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장사시설 추진이 ‘님비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포천시가 인근 지자체의 수요까지 해결하는 공동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나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번 장사시설이 들어서면 경기북부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타 시·군의 화장장을 찾아 떠나는 ‘원정 화장’의 불편과 고액 화장시설비용을 크게 덜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일 도와 시에 따르면 포천시의 제안사업으로 추진된 공동장사시설은 완공 후 포천을 비롯해 가평, 구리, 남양주, 동두천, 양주, 의정부 등 경기북부 7곳과 강원도 철원 등 총 8개 지자체 주민들이 공동으로 이용하게 된다.
포천시 영북면 야미리 일원에 들어서는 경기북부 공동장사시설은 오는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총 33만580㎡에 화장로 10기, 봉안당 2만5천기, 자연장지 2만5천기, 장례식장, 식당, 매점, 공원 등이 조성된다.
그동안 경기북부 지자체는 고양·수원·성남이나 서울 서초구 및 강원도 등에 위치한 장사시설을 찾아 관내 비용 5~10만원보다 적게는 10배에서 많게는 20배에 이르는 고액의 화장비용을 지급해야 했다.
이에 장사시설의 필요성을 느낀 포천시는 장사시설 유치를 위해 지난 2011년 3월 관내 16개 지역에서 장사시설 유치 신청을 받은데 이어 사업설명회와 공동참여 지자체의 재원분담 협의 등을 거쳤다.
포천시는 장사시설 건립에 따른 인센티브로 화장장에서 나오는 수입의 일부를 마을발전기금으로 사용하고, 음식점과 매점·자판기 등 부대시설 운영권을 전적으로 주민들이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키로 했다.
도내 화장수요는 2009년 3만2천479구, 2010년 3만5천197구, 2011년 3만4천572구로 증가추세에 있다.
하지만 안산, 연천, 이천, 김포, 시흥, 화성 등 6곳은 수년 전부터 장사시설 설치를 추진해 왔으나, 지역주민들의 완강한 반대로 사업추진에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도내 장사시설은 수원과 성남, 지난해 12월 문을 연 용인까지 총 3곳에 화장로 34기에 불과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장사시설 부족난에 숨통이 트여질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지자체들의 장사시설 추진은 주민들의 반대에 막혀 사업자체가 ‘무산’과 ‘추진’의 기로에 서 있는 상태”라며 “포천시의 공동장사시설 추진 사례는 타 지자체의 장사시설 건립에 모범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