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도내 다문화가족 자녀 10명 중 4명은 미취학

중도입국 자녀 맞춤형 학습 시스템 절실
경가硏, 다문화가족 자녀 취학실태조사 발표

경기도내 다문화가족의 자녀 10명 가운데 4명은 학교에 다니지 않는 미취학생인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실태 및 증진방안’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은 60.7%를 기록했다. 전체 학령기 자녀 1만7천93명 가운데 1만367명만 취학한 것이다.

이들의 낮은 취학률은 ▲학생 실태조사 자료 부적확성 ▲중도입국 자녀의 낮은 진학률 ▲한국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진학포기 ▲경제적 빈곤과 사회적 차별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초등학생 1만804명 가운데 70.0%인 7천555명, 중학교는 3천862명 중 1천968명(51.0%), 고등학교는 2천427명 중 844명(34.8%)이 각각 취학하는 등 상급학교로 갈수록 취학률이 낮았다.

지역별로는 가평군과 연천군이 100% 취학률을 보였지만 수원(49.7%), 시흥(46.4%)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광명(54.8%), 부천(54.4%), 안양·과천(53.5%), 성남(53.3%) 등은 절반을 겨우 넘었다.

부모의 국적별 취학률은 일본·필리핀·몽골 국적 부모의 자녀는 모두 취학했으나 중국 조선족(25.9%), 중국 한족(50.1%), 베트남(59.2%) 국적 부모의 자녀 취학률이 크게 낮았다.

지난해 다문화가족 자녀는 16만8천583명으로 2007년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국제결혼 증가 및 다문화가족 중도입국 자녀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제결혼은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3만건 이상을 기록했고, 중도입국 자녀도 2010년 3천468명에서 지난해 5천828명으로 68% 증가했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박재규 연구위원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을 높이기 위해선 대도시 지역에 한국어 및 한국사회 이해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대안교육과정 개설, 연령 및 학습능력 수준에 적합한 진학 및 학습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