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일평균 400㎿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건립을 추진한다.
전력 400㎿는 화성시의 일반가정 평균 사용량을 기준으로 약 26만가구 정도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공공기관 유휴지 활용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촉진을 위해 화성 발안 산업단지 내에 60㎿급 연료전지 발전소를 설치한다.
60㎿는 화성시 전체 20만가구 가운데 20% 정도인 4만여가구가 사용 가능한 용량이다.
건립은 지난 2011년 4월 신재생에너지 개발 협약을 맺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맡는다.
한수원은 총 공사비 3천200억원을 들여 오는 3월까지 1단계(25㎿) 공사를 마친 뒤 6월부터 2단계(35㎿) 공사에 착공해 12월 준공할 예정이다.
연료전지 발전은 연소반응이 아닌 수소와 산소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발전효율이 높고 LNG 열병합발전에 비해 유해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친환경에너지로 도심지 설치에 적합하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또 오는 3월 경기도그린캠퍼스협의회와 대학교 유휴공간을 활용해 태양광발전시설 설치를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한 뒤 명지대와 신구대에 1㎿급 태양광 발전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그린캠퍼스협의회는 20억원을 들여 태양광 발전소를 건립한 뒤 도에 기부체납하게 된다.
이와 함께 도내 군부대 유휴지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위해 오는 5월 사업타당성을 분석, 이를 토대로 7월에 한국남동발전과 협약을 체결한다.
한국남동발전은 도내 군부대 유휴지 660곳에 500㎾급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게 된다.
지난 2010년 12월 한국서부발전과 체결한 공공기관 유휴지 태양광 발전 추진 협약에 따라 안산시 관내 7곳에 총 2.3㎾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소도 들어선다.
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도입으로 에너지 사업자들은 발전량의 일정비율(올해 2.3%, 2022년 10%)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민간개발 수요 및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공급 지원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도내에서는 공공과 민간을 합쳐 80㎿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가 생산·공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