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5명의 사상자를 낸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의 불산 누출사고에 대한 진상 규명을 위해 경기도의회가 구성한 ‘삼성전자 불산 누출사고 진상규명 민관합동조사단’이 구성 보름도 되지 않아 ‘용두사미’로 전락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불산의 외부 유출사실 확인을 위해 채취한 식물 시료를 놓고 오염시비가 일자 시료를 폐기하고 계획을 취소한 것은 물론, 조사에 비협조적이라는 이유로 삼성에 대한 고발 방침(본보 2월22일자 3면 보도)을 밝힌지 닷새 만에 철회하는 등 도의회 내부에서조차 조사단이 의회 체면만 구겼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5일 도의회에 따르면 지난 14일 구성된 조사단은 다음 달 14일까지 한 달간 활동을 벌인 뒤 조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조사단은 삼성전자가 화성사업장의 사고 발생시각을 도에 허위 보고해 국가위기대응 시스템에 혼선을 초래했다며 삼성을 공무집행 방해로 고발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조사단은 그러나 삼성 법무팀과의 법정다툼이 큰 소득없이 지루한 공방으로 이어질 소지가 많은데다 26일 경찰의 중간수사 결과 발표도 예정돼 있는 만큼 추이를 지켜보겠다며 삼성에 대한 법적 대응방침을 철회키로 했다.
도 집행부의 참여 거부로 실질적인 성과에 대한 의문을 안고 활동에 들어간 조사단은 앞선 회의에서도 삼성 측의 자료제출 거부로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지난 20일 있었던 현장조사가 삼성의 거부로 무산되며 활동 계획에 큰 차질을 빚어왔다.
특히 현장조사 당시 불산의 외부유출 여부를 증명하겠다며 채취한 식물 시료도 채취과정의 오염 시비와 공신력 부재 등을 이유로 당일 전량 폐기함에 따라 조사단의 실질적인 결과물은 사실상 전무해진 상황이다.
결국 조사단은 불산 누출사고의 진상을 조사해 도와 삼성의 책임을 묻겠다던 당초 계획을 수정해 유해화학물질 관리와 관련한 제도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활동방향 선회를 고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조사단의 공동단장을 맡고 있는 권칠승(민·화성) 의원은 “삼성 측에 공동 식물 시료 채취를 다시 제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삼성에 대한 고발보다는 도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관리와 관련한 조례 제·개정 등의 제도개선 등에 초점을 둘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