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학교 비정규직의 정원과 실제 근무하는 현원이 직종별로 편차가 커 인력 운용에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경기도교육청이 정원이 초과된 직종에 대해 인력이 부족한 경우라도 충원을 금지한다고 지침하면서 해당 교사들의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경기도의회 최창의 교육의원이 7일 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학교 비정규직 교육실무직원 정·현원 자료’에 따르면 19개 직종 가운데 정원대비 현원이 5개 직종은 최고 219명까지 부족한 반면 10개 직종은 최고 292명까지 넘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교육실무직원 정원 대비 현원이 부족한 직종별 인원은 사서직이 219명으로 가장 많고, 조리실무사 191명, 조리사 25명, 영양사 19명, 사회복지사 2명 순이다.
오히려 현원이 정원에 비해 많은 직종은 행정실무사 292명, 유치원종일반 보조원 251명, 특수교육실무사 46명, 방과후 돌봄강사 46명, 그 밖의 6개 직종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정원과 현원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도교육청은 지난해 말 공문을 통해 정원 대비 현원을 초과한 직종에 대해 결원이 발생시 충원 인력을 채용하지 않도록 통보했다. 특히 도내 1천82곳 공립유치원 방과후 보조원의 정원이 1천223명인데 비해 현재 채용된 인원이 1천495명, 2014년도 예정 인원이 1천778명으로 차후 정원을 초과한 인력에 대해 결원 보충을 하지 말 것을 통지했다.
이같은 도교육청의 ‘유치원 방과후 보조원 충원 불가’ 지침에 일선 공립유치원과 교사들이 반발하고 있다.
총액인건비 시행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지만 교육 여건의 현실을 고려해 정원 관리에 대한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유치원 교사들은 “이미 2014년도 원아모집 공고를 통해 유치원 종일반 운영을 약속, 교사들이 방과후 교육까지 떠맡아야 할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최창의 교육의원은 “정원 관리에만 매달려 유치원 방과후 보조원을 충원하지 않으면 유아 학부모들의 더 큰 혼란과 반발을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수우기자 ksw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