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기재위, 경기연 행감
경기연구원이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 차별을 유발하고, 학벌주의도 조장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사와 석사를 각각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분류해 채용한 뒤 이를 기준으로 성과급도 지급하고 있어서다.
이같은 주장은 7일 진행된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경기연구원 행정감사에서 나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양근서 위원(안산6)은 “사회적 문제를 올바른 방향으로 제시해야 할 경기연구원이 정작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 구조가 만연하다”며 “정규직은 모두 박사만을 채용하고 석사는 비정규직으로 인원을 채우고 있다. 이는 마치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착취하기 위해 만든 하청구조와 같은 인상을 남긴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비정규직 초임 석사는 정규직 석사에 비해 67% 가량의 임금을 받고 있는 등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차도 심각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경기연구원은 56명의 정규직, 83명의 비정규직 등 총 139명의 연구원이 있다.
이 가운데 정규직 인원은 모두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들로 구성됐다. 최종 학력이 석사인 정규직은 단 한명도 없었다.
반면, 비정규직은 전체 인원 중 80%에 달하는 66명이 석사 학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박사와 석사 간 이중 차별이 구조화돼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양 의원은 “연구장려금 등 성과급 지급 현황을 살펴보면 학벌에 따라 이를 지급하고 있다”며 “박사들의 경우 비정규직에게도 연구장려금을 지급했으나 보조원 석사급 비정규직은 단 한푼도 이를 받지 못했다. 비정규직은 물론 학벌 차별까지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이런 행태를 보면 경기연구원이 사회현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관인지 의문”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에 대해 임해규 경기연구원장은 “원장 취임 후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어 개선하려 했으나 연구원 특성 상 관행적인 측면이 있어 쉽게 바꾸긴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성과급 지급 관련해서는 내년 1월부터 이를 개선키로 내부 방침을 세웠다”고 답했다.
/조용현기자 cyh3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