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상 처음… 5대 은행 가계대출 500조 돌파

전년 대비 9.2% 증가… 국민은행 123조1397억 1위
11조 이상 늘어난 농협 순증 1위… 충당금 손실 만회

지난해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처음으로 500조원을 넘어섰다.

KB국민은행이 가계대출 잔액 규모가 가장 컸고, 농협은행은 지난 한 해 동안 순증액이 가장 많았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12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500조9천230억원으로, 전년 말(458조7천181억원) 보다 42조2천49억원(9.2%) 늘었다.

이들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500조원을 돌파한 건 지난해가 처음이다.

잔액 규모는 국민은행이 123조1천397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우리은행도 102조5천234억원으로 100조원을 돌파했다.

하나은행은 95조676억원으로 3위를, 신한은행(93조6천285억원)과 농협은행(86조5천638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은행 가운데 작년 한 해 순증액이 가장 많았던 곳은 농협이다.

농협은 11조1천404억원(14.8%)이 늘어 증가량과 증가율에서 모두 타 은행들을 압도했다.

조선·해운 구조조정으로 1조7천억원 넘는 충당금을 쌓았던 농협은 가계대출을 통해 손실을 만회했다. 가계대출 증가세에 힘입어 4분기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우리은행도 가계 여신이 연간 10조3천196억원(11.7%) 증가했다.

리딩뱅크 신한은행의 가계 여신 증가액은 5조5천437억원으로 5대 은행 가운데 가장 적다.

하지만 지난해 9.2%의 성장세를 보인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리스크 관리’를 올해 경영전략의 화두로 내세우면서 증가세가 크게 둔화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감독원의 ‘2017년 가계대출 관리계획’에 따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6%대에 이를 전망이다.

주요 시중은행은 더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3%대 후반에서 5%대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내외 환경 변화로 은행들이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향상에 주력하면서 리스크 관리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시중 5대 은행장들은 “급증하는 가계부채와 다중채무자에 대한 선제 리스크 관리 등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