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허리’ 40대 가구 소득 증가 폭 역대 최저

지난해 처음 0%대로 ‘털썩’
자영업 불황에 사업소득 감소
근로소득 증가율 2%대 영향
소비 지출 3년 만에 감소세로

다른 연령대 가구보다 소비 지출이 많은 국내 4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지난해 처음 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주 연령이 40∼49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00만5천 원으로 전년보다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전년 증가 폭(2.8%)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후 가장 낮다.

40대는 통상 이직이 잦은 20∼30대, 명예퇴직 등으로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는 50∼60대와 달리 상대적으로 소득이 안정된 계층으로, 실제 40대 가구 소득은 연 기준으로 단 한 번도 감소하지 않고 매년 최소 2%대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 소득이 1년 전보다 0.03% 줄어들며 처음으로 뒷걸음질 친 데 이어 4분기에는 감소 폭이 0.04%로 더 확대됐다.

40대 소득 증가 폭의 둔화는 사업소득이 1.7% 줄어들며 3년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 탓이 컸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도 3년째 역대 최저 수준인 2%대 증가율에 머물렸다.

지난해 기준 40대 가구의 월평균 소비 지출은 308만 원으로 전 연령대 가구 중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가구의 소비지출(165만 원)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40대 가구의 소비 지출은 소득 감소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7% 줄어들었다.

40대 가구 소비 지출이 줄어든 것은 지난 2013년 1분기 이후 3년여만이며, 감소 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에 3.2% 줄어든 이후 최대다.

정부 관계자는 “제조업 구조조정 등으로 경기 불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소규모 사업을 하는 사람이 늘면서 경쟁까지 심화돼 자영업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40대 사업소득이 감소한 것은 이런 점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장선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