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평택의회, 경영난 로컬푸드 직매장 해법 모색

‘방만운영’ 영농조합 대표·피해농민 대상 간담회 준비
“경영권 이전하려면 농산물 납품대금 먼저 해결” 지적

평택시가 보조금을 지원하고 전담팀까지 운영해 온 평택 로컬푸드 직매장이 운영 3년5개월 만에 극심한 경영악화로 폐점 위기에 몰리면서 농민들도 납품한 농산물 대금 1억8천여만 원 받지 못할 상황에 놓이자 평택시의회가 대책마련에 나섰다.

22일 시 등에 따르면 시는 안전한 지역 생산 먹거리를 지역민이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 아래 지난 2013년 9월 신대동에 평택로컬푸드 직매장을 개설해 운영에 나섰다.

이를 위해 시는 리모델링 공사비와 판매시설 및 냉장·냉동고 설치, 매장 시스템 구축 등에 1억7천800만 원을, 포장재 지원에 1천만 원 등 모두 1억8천840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했다.

그러나 운영을 맡은 A영농조합법인의 방만한 경영으로 적자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농민 130여 명이 1억8천여만 원 상당의 농산물 납품대금을 받지 못해 반발하고 있다.

농민들은 “시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로컬푸드 전반을 관리하면서 문제가 발생하자 책임이 없다는 식으로 발을 빼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다”며 “생산자들은 시를 믿고 각종 농산물을 납품했다”고 토로했다.

농민 B씨는 “로컬푸드 직매점이 3년여 동안 적자운영을 해 왔는데 시가 경영권 이전을 추진하면서 인수하는 측에 ‘수익이 나면 채무를 갚아나가라는 식’으로 이면 합의를 종용하는 것은 사실상 갚지 않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언성을 높였다.

이에 시 관계자는 “로컬푸드의 이미지 훼손을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사실상 부도가 발생한 로컬푸드 직매장의 운영권을 다른 조합으로 넘겨 활성화 시킨 뒤 농민들의 부채는 흑자가 나면 갚아나가는 식으로 중재해왔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와 농민 간 대화가 이뤄지지 않자 평택시의회가 간담회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일부 의원들은 “로컬푸드 직매장이 당초 목적과 달리 방만하게 운영돼 문제가 발생했고 경영권을 이전하려면 농산물 납품대금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며 “시가 보조금이 지급된 로컬푸드 사업을 형식상 살리려는 데만 집착해 잘못된 행정을 계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의회는 조만간 잘못된 운영을 해 온 A영농조합 대표와 피해 농민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평택=오원석기자 ows@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