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농식품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기 위해 수입 운송비 지원, 수입국 다변화, 정부 비축물량 확대 등 다양한 카드를 꺼내 들었음에도 닭고기와 달걀 가격이 여전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3일 축산물품질평가원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현재 육계 산지가격은 1㎏에 2천534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인 1천256원보다 101.8% 급등했다.
전월(2천91원)과 비교해도 21.2% 올랐다.
이처럼 닭고기 산지가가 상승하는 것은 조류인플루엔자(AI)의 여파로 닭과 오리가 대거 살처분된데다 AI 확산을 막기 위한 일시이동 중지 조치로 제때 병아리 입식이 이뤄지지 못해 육계 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AI 발생 직후 크게 감소했던 닭고기 수요는 최근 황금연휴와 본격적 행락철 등을 맞아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이로 인해 수급불안 현상이 심화하고 산지가가 급등하자,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사는 최근 닭고기 소비자가를 일제히 올렸다.
이마트는 지난 18일 5천980원이던 백숙용 생닭(1㎏) 가격을 6천980원으로 1천원 인상했고, 롯데마트도 같은 날 하림 생닭(1㎏) 가격을 5천900원에서 6천900원으로 올렸다. 홈플러스 역시 같은 날 백숙용 생닭(1㎏) 가격을 5천790원에서 5천990원으로 200원 인상했다.
달걀 가격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 17일 한 판에 8천원을 넘어섰던 달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정부의 발표 이후 약간 주춤하다가 22일 다시 8천40원으로 반등했다.
달걀 한 판 가격이 8천원을 넘어선 것은 AI 확산세가 한창이던 지난 2월 9일 이후 처음이다.
AI 피해가 특히 컸던 서울·수도권 지역의 일부 슈퍼마켓에서는 30개들이 달걀 한 판 가격이 1만원을 넘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다.
/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