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토지매입부터 보상, 부지 조성, 기반시설까지 모두 끝낸 뒤 곧바로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완성품의 형태로 공급해 인기가 높은 공공택지의 주택건설용지 공급이 줄면서 건설사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6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총 55개의 공동주택용지(재공고분 포함)의 매각 공고가 난 가운데 이 가운데 33개 필지가 판매됐다.
소규모 연립주택 용지나 집값이 하락 중인 지방, 이천·양주 등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 공급된 토지는 일부 미분양이 났지만 분양성이 보장되는 수도권의 공동주택용지는 높은 경쟁률에 팔렸다는 것이 LH의 설명이다.
LH는 올해 공동주택용지를 분양받을 수 있는 회사의 1순위 자격 요건을 최근 3년간 주택건설 실적이 300가구 이상인 곳으로 제한하고 있다.
공동주택용지의 당첨확률을 높이려고 실체도 없는 서류상의 회사(페이퍼컴퍼니)를 무더기 동원해 용지 분양받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지만 건설사들의 ‘땅 전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지난달 20일 LH가 분양한 위례신도시 A-10블록은 1필지 매각에 200개 회사가 신청해 경쟁률이 200대 1에 달했고, 위례 A3-2블록도 경쟁률이 196대 1이었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자격요건 제한이 없는 2015년에는 위례신도시 공동주택용지 평균 경쟁률이 300∼400대 1에 달했는데 그나마 자격제한이 생기면서 경쟁률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이라며 “그러나 건설사 입장에서 공동주택용지 당첨은 여전히 하늘의 별 따기”라고 말했다.
또 LH가 지난달 27일 분양한 시흥 장현지구 B-8블록은 경쟁률이 195대 1에 달했고, 지난달 15일 분양한 평택 고덕신도시 A-45블록은 경쟁률이 99대 1로 100대 1에 육박했다.
LH는 올 한해 전국 109개 필지, 403만㎡의 공동주택용지를 공급할 계획으로, 지난해 공급 물량(106개 필지 408만㎡)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2014년(188개 필지 783만㎡)과 2015년(170개 필지 695만㎡)에 비하면 작년부터 공급물량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또 올해 공급분 가운데 다수는 택지 개발에 참여한 건설사에 대행개발 방식으로 공동주택용지를 대신 지급하거나 공모형 뉴스테이 등으로 공급돼 제약이 많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2∼3년간 주택경기 호황으로 땅값이 많이 올라 건설사가 직접 민간택지를 매입해 주택사업을 하기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 됐다”며 “입지여건이 좋은 수도권 공공택지 확보에 혈안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라고 말했다./김장선기자 kjs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