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평택 ‘모산골 평화공원’ 2차부지 민간개발

재정부족·사업추진 시한 3년… 30% 공동주택 건립 전환
市, 조만간 사업자 공고… 시민단체 “난개발 우려” 반대

평택시는 총 27만7천974㎡ 규모의 모산골 평화공원 조성 1·2차 사업 중 2차 사업부지 22만9천947㎡를 민간개발방식으로 전환해 추진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시비 260억 원을 들여 1차로 공원부지 4만8천㎡에 산책로와 수변로, 녹지공간 등을 조성했다.

2차로 진행되는 민간개발은 부지 가운데 30%는 공동주택 등 수익사업으로 개발하고 나머지 70%는 공원으로 조성해 시에 기부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는 1천억여 원의 사업비를 재정으로 충당하기 어려운 데다 사업 추진 시한이 3년밖에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공원은 도시계획시설 고시일로부터 20년이 경과하는 오는 2020년 7월 1일에는 근린공원 시설결정의 효력을 잃게 된다.

이로 인해 시는 지난해 12월부터 3차례의 전문가 자문위원회와 5차례의 지역주민 대표 간담회, 시민 경청토론회, 시의회 설명, 혁신토론회, 시정설명회, 심포지엄 등 사업 타당성을 논의한 끝에 민간개발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하고 홍보활동을 펼쳐왔다.

시는 조만간 제안서 모집공고를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국토계획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은 결정일로부터 20년 이내에 집행되지 못할 경우 실효된다”며 “예산부족으로 재정 개발이 어려움에 따라 난개발 방지를 위해 민간개발방식의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민단체와 아파트 협의회 등은 시가 추진하는 민간개발 방식이 녹지 축소로 인한 난개발과 공원의 공적 기능 저하를 초래할 것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모임 대표는 “예산이 부족하다면 시민을 대상으로 땅 1평사기 운동, 기업체와 건설사 등의 자발적 기부 등을 통해 예산을 확보, 100%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모산골 평화공원 개발사업은 지난 2009년부터 오는 2020년까지 1천224억 원을 들여 동삭동 일원 27만7천974㎡를 평화수호관, 평화동산, 평화수변, 힐링숲, 광장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평택=오원석기자 ows@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