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추모공간 조성을 추진하면서 이에 대한 찬반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시는 최근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추모공간 조성 안내문과 당위성을 담은 안내문 제작·배포 등 조성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해 관계자 등 일부 주민의 반발이 커 추모공간 조성을 둘러싼 공방은 세월호 참사 4년이 된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제종길 안산시장은 지난 2월 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십 개월을 끌었던 세월호 추모공간 조성지로 화랑유원지를 발표했다.
지난 2015년 2월 열린 1천인 대토론회를 시작으로 추모사업협의회와 20여 차례가 넘는 의견 수렴 과정 끝에 나온 결과다.
지난해 9월 공개된 세월호 추모공간 조성지 결정을 위한 국무조정실의 1년여에 걸친 연구용역에서도 1순위가 화랑유원지였다.
앞서 세월호 참사 단원고 유가족들도 지난 2016년 10월부터 화랑유원지를 제안해 왔지만 지난해 초부터 본격화된 논의 과정부터 반발도 심했다.
화랑유원지 주변 주민과 안산지역 아파트 입주자 연합회, 재건축 조합 등은 ‘화랑유원지를 시민에게 돌려 달라’고 반대했고, 일부 정치권과 사회단체의 반대 목소리가 커졌다.
안산시의회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고, 제 시장과 같은 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6·13 지방선거 안산시장 예비후보들마저도 “제 시장의 독단적인 결정”이라며 비난했다.
화랑유원지 주변 주민도 반대 견해를 밝힌데 이어 지난 11일 청와대 앞에서 집회를 열기도 했다.
시는 ‘화랑유원지 내 추모공간 이렇게 만들어집니다’는 안내문 4만 장을 제작·배포하는 등 설득 작업에 나섰다.
시는 화랑유원지 전체 면적 61만㎡의 3~4%를 넘지 않는 2만3천㎡ 정도에 추모공간을 조성할 계획으로, 봉안시설이 들어서는 추모관은 660㎡ 내외 공간에 지하화 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나머지 공간은 국제 공모를 통해 친환경 디자인 설계와 조경 등이 축약된 문화와 휴식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모든 행정절차는 전문가와 시민 등으로 꾸릴 ‘세월호 추모공원 50인 건립 위원회(50인 위원회)’가 맡게 되며,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국비를 지원받는다.
시의 이같은 방침에도 반대 입장이 여전해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제 시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화랑유원지 내 추모공간 조성 방침을 밝힌 엿새 뒤인 지난 2월 26일부터 매주 주말이면 안산문화광장 등 주민 100~200여 명이 반대 집회 등을 열고 있다.
화랑유원지 내 추모공간 조성을 반대하는 화랑지킴이, 아파트연합회, 재건축연합회 등 3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화랑유원지 세월호 납골당 반대 시민행동’ 공동대표 정창옥씨는 “세월호 추모공간 조성과 관련한 시와의 두차례 간담회는 견해가 극과 극을 달려 협상의 여지가 없다”며 “우리 입장은 절대로 화랑유원지에 추모공간 조성은 안 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시와 유가족들은 시민의 의견에 귀 기울여 합리적인 장소, 고요하고 차분한 장소에 추모공간을 조성해야 한다”고 요구했다./안산=김준호·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