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사업본부는 오는 2020년까지 우편배달용 이륜차 약 1만5천대 중 66%인 1만대를 초소형전기차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우선 올해 초소형전기차 1천대를 도입하고, 내년에 4천대, 2020년 5천대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우본은 이날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우편사업용 초소형전기차 구매설명회를 개최하고 도입 계획과 구매 규격안을 발표했다.
규격안에 따르면 우편배달용 초소형전기차는 농어촌지역 운행 거리 80㎞ 이상, 중소도시 60㎞ 이상, 대도시 40㎞ 이상, 적재 중량 100㎏ 초과, 적재 공간 0.4㎥ 이상, 완속 충전과 220V용 콘센트 충전 호환 방식 등을 충족해야 한다.
이외 블랙박스, 후방보행자 안전장치(영상장치, 접근·후진경고음 발생장치) 등 안전장치와 냉·난방장치, 원격잠금장치 등 편의장치를 필수로 갖춰야 하며, 필수사항은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확대된다.
구매설명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 사이에서는 규격 조건이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부 사업자들은 국가 보조금이 초소형차보다 경차에 많이 지급되는 점을 들어 배달용 전기차를 경차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우본 측은 “경차로 확대하게 되면 국가 보조금이 늘어 바람직하지 않다”며 “경차로 당장 규격 상향은 어렵지만 전기차 확대에 맞춰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규격은 올해 도입되는 1천대에 한해 적용된다.
우본은 이달 중 구매 규격을 공고하고, 11월까지 차종을 선정해 차량임대업체와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며 현장 배치는 올해 12월부터 순차적으로 이뤄진다.
앞서 우본은 집배원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올해 배달용 초소형전기차 도입을 확정하고, 현재 전국에서 48대를 시험 운영하고 있다.
/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