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김 빠진 막걸리 한류… 6년 연속 수출 감소세

지난해 수출액 1224만7천달러
2011년 최고치 25% 수준 불과
국내 소매 매출은 꾸준히 증가

‘한류’ 전통주를 대표하며 각광받던 막걸리가 지난해까지 6년 연속 수출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막걸리 수출액은 1천224만7천 달러로, 전년 1천286만8천 달러보다 4.8% 감소했다.

이는 2011년 5천273만5천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6년 연속 감소해 25% 수준으로 수출액이 작아진 것이다.

㎏당 수출 단가도 0.95달러에 그쳐 2014년 0.99달러 이후 1달러 선을 회복하지 못했다.

㎏당 수출 단가는 일본으로의 수출이 활황이던 2012년 1.2달러까지 오른 바 있다.

국가별 수출액은 일본이 690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국 172만5천 달러, 중국 130만8천 달러, 베트남 59만4천 달러, 호주 36만9천 달러 등 순이었다.

일본은 전년보다 1.1% 증가했으나 미국과 중국은 각각 12.4%, 30.5% 수출액이 줄어들었다.

aT는 미국, 중국 등 상위 수출국에서의 실적 감소가 전체 막걸리 수출 부진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경우 과일 막걸리 신제품들이 인기를 끌면서 2016년 이후 반등에 성공했으나, 미국은 교민 시장이 포화된 상태에서 현지인 시장 진출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중국은 누룩 향을 선호하지 않는 현지인 시장 특성에 더해 지난해 불거진 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사태로 인해 시장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다만 막걸리의 국내 소매 매출은 2015년 3천6억 원에서 2016년 3천146억 원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3분기까지 2천674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6% 증가했다.

aT는 “주요 막걸리 업체들이 젊은 소비자 입맛에 맞춘 다양한 맛의 막걸리를 꾸준히 개발하고, 지방에서도 지역 특색 막걸리를 활발하게 내놓은 결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이주철기자 jc38@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