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삼성은 부품회사?

반도체·디스플레이 매출 56조
회사 전체 매출의 절반 육박

올해 들어 삼성전자의 부품 사업 매출이 가전은 물론 모바일 사업까지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은 스마트폰·PC가 주력 사업이었으나 지난해 본격화한 세계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이 장기화하면서 부품 사업의 비중이 가장 커진 것이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에 디바이스 솔루션(DS) 사업부문에서 56조5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체 매출(119조400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7.1%에 달했다. DS 부문은 D램, 낸드플래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 등 디스플레이(DP) 등을 담당하며, 다른 완제품 사업과 구분해 ‘부품 사업’으로 불린다.

올 상반기에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IT·모바일(IM) 사업부문 매출은 52조4천500억원(44.1%)이고, TV와 가전제품 등 소비자가전(CE) 사업부문은 20조1천400억원(16.9%)이었다.

이밖에 지난해 인수한 자동차 전장 업체 ‘하만’이 4조700억원(3.4%)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들 각 사업부문의 매출을 모두 합칠 경우 실제 매출액 합계보다 더 많은 것은 일부 사업부문에서 내부거래가 중복으로 계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2012년 말 조직 개편을 통해 CE, IM, DS 등 3개 부문으로 새롭게 출발한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DS 사업 매출이 IM 사업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DS 사업 매출이 IM 사업을 근소한 차이로 앞섰으나 올 상반기에는 격차를 더 벌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엇보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호황 장기화에 따른 것으로, 이런 추세는 올 연말까지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주철기자 jc38@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