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산자물가지수 61개월만에 최고

폭염… 농산물 중심 물가 올라
국제유가 상승도 오름세 부채질

폭염이 물러갔지만 작황이 부진해진 농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며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5년1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18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5.78로 한 달 전보다 0.3%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2013년 8월 105.81 이후 최고였다.

농산물 물가 상승세가 생산자물가를 밀어 올렸다.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지수는 136.57로 한 달 전보다 1.5% 상승했다. 지수 자체로는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고였다. 농림수산품 중에서도 농산물이 1.6%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폭염 때문에 7~8월 농산물 물가가 올랐는데 일부 품목 작황이 회복되지 못해 9월에도 농산물 물가가 올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토마토는 96.7%, 피망은 92.6% 올라 한 달 전보다 물가가 거의 두 배로 뛰었고 상추도 76.0%, 건고추 14.9%씩 상승했다.

공산품은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 위주로 오르며 0.3% 상승했다.

전력, 가스 및 수도는 한 달 전보다 1.5% 뛰었다. 지난 7∼8월 한시적으로 적용된 전기료 누진세 인하가 원상 복귀하면서다. 서비스 물가는 0.1% 상승했다.

여름 성수기가 끝나며 호텔(-10.0%), 휴양콘도(-22.9%), 자동차임대(-9.1%) 등에선 서비스 물가가 하락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견주면 생산자물가는 2.7% 올라 2016년 11월 이후 2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상품, 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02.37로 0.2%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해 측정한 총산출물 물가지수는 101.90으로 0.3% 상승했다. 이 지수는 국내 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1.4%, 공산품은 0.3% 각각 올랐다. /이주철기자 jc38@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