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차 북미정상회담의 하루 앞두고, 한반도 훈풍을 기대하며 남북교류사업에 박차를 가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남북교륙사업 추진 계획에서 ▲지속적인 남북교류 사업 태세 마련 ▲평화도시·동북아 경제중심도시 ‘인천’ 의제 확산 ▲교류 중단으로 소실된 역량 복원과 실질적 남북교류사업의 진전 등을 기본 목표로 설정했다.
먼저 평화·통일 관련 유관기관, 학계, 시민사회단체 등이 ‘평화도시조성위원회’를 구성해 민관 거버넌스를 통해 정책수립과 실천방안을 모색했으며, 특히 전국의 남북문제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서해평화포럼’을 조직해 인천형 남북교류와 평화도시 조성의 정책적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다음으로 남북정상의 선언에서 언급됐던 서해평화협력지대 조성, 남북공동어로구역 지정, 한강하구 공동이용 등 외에도 박남춘 시장의 공약사항인 서해평화협력청 설치, 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 등에 대해서도 중앙정부에 대한 적극적인 건의와 다각적인 지원을 요청키로 했으며, 타 지방정부와의 협업을 통해 남북교류를 증진시킬 계획이다.
또 대북제재가 현존하는 상황과 중앙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남북교류의 현 상황을 고려해 인도적 지원, 사회·문화·체육 교류 등 정세에 따른 실현 가능한 사업부터 순차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말라리아·결핵 예방치료 사업 ▲미술작품 교류 전시 ▲강화·개성 역사 사진전 및 유물 교류전 개최 ▲북한선수 초청 스포츠 대회 등도 상황에 맞춰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시는 북미정상회담과 이후 대북제재 해제·완화 등을 예상하며, 인천의 강점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중장기적 과제를 준비한다.
박남춘 시장은 “향후 인천시의 남북교류사업은 정부와의 공조 속에 지자체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며,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남북교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제재완화 등 여건이 조성되면 인천과 비슷한 환경을 갖고 있는 남포특별시와의 교류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평화도시 인천 조성을 위한 조례를 개정·전담조직을 신설한 바 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