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주민 정주여건 개선, 투자유치 활성화...제3연륙교 사업 본격화

여러 난제 뚫고 착수...생산.취업 등 막대한 효과도 기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제3연륙교 건설사업이 드디어 본격 진행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인 영종과 청라지역을 연결하는 제3연륙교 사업은 그 동안 숱한 난관에 직면하며 어려움을 겪어왔다. 공사 착공이 지연되면서 지역 국회의원, 지방의회, 주민들로부터 여러 차례 민원이 제기되는 등 지난 10여 년 간 ‘인천지역 최대 현안’의 단골 메뉴였다.

 

이 사업은 지난 2006년 12월 영종과 청라국제도시 조성원가에 건설비 5000억 원이 반영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10년 9월 LH, 인천경제청에 도시관리계획 변경 입안 제안 ▲2012년 5월 인천시, 도시관리계획 결정 고시 ▲2016년 4월 기본설계용역 ▲ 2018년 7월~200년 7월 실시설계용역 ▲2020년 4월 설계경제성(VE) 검토 등의 과정을거쳤다.

 

당초 사업기간은 2015년부터 2025년까지로 잡혀 있었다. 그러나 제3연륙교 개통으로 손해가 예상되는 인천대교 등 기존 민간사업자에 대한 손실 보전 문제가 발목을 강하게 잡았다.

 

국토교통부와 인천대교(주)은 영종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또다른 다리가 생겨 통행료 수익이 현저하게 줄어들 경우 2039년까지 최소운영수익 보장과 함께 부담 주체와 규모 등을 놓고 오랜 기간 협의를 벌여왔다.

 

추정통행료 수입과 실제 수입 간 차액 모두를 보전해달라는 요구가 국토부로부터 거절당하자 인천대교 측은 지난 2018년 4월 국제상업회의소(ICC)에 중재신청을 제기했다. 2년 여의 다툼 끝에 ICC는 올 6월 인천대교의 손을 들어주었다.

 

결과에 상관없이 제3연륙교 건설사업의 가장 큰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이다. 시와 인천경제청은 이 결정에 따라 2025년 예정인 개통 시점에 기존 연륙교의 실제 통행량 변화를 측정, 차액을 보전해주기로 했다.

 

이 사업은 올해 초 연기설이 나오면서 또 한차례 홍역을 치렀다. 지난해 3월 시가 신월IC~서인천IC 간 경인고속도로 지하화사업 구간을 남청라IC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국토부에 건의한 것과 관련해서다.

 

이렇게 되면 일반도로로 설계된 제3연륙교의 설계변경이 불가피, 행정절차를 다시 밟아야 해 시가 공언한 2020년 착공이 물 건너 갈 수도 있는 상황. 주민들은 집단 반발했고, 시는 연내 착공을 재차 약속하며 진화에 나서 겨우 수습됐다.

 

연내 착공과 2025년 개통 약속을 지키게 된 데에는 시가 짜낸 ‘최적의 대안’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시는 검토 끝에 사업을 3개 공구로 나눠 부대공사를 미리 착공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해상 교량부분인 본공사는 실시설계 기술제안입찰로, 부대공사는 적격심사 방식으로 각각 발주하는 것이다.

 

부대공사는 작업장, 물양장 등 교량건설에 필요한 작업환경을 사전에 조성하는 것으로 적격심사 방식을 거치면 통상 6개월인 입찰기간이 1개월 가량으로 대폭 줄어든다. 시는 9월 열릴 지방건설심의위원회에 이 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공사기간을 54개월로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제3연륙교가 개통되면 영종지역 정주여건 개선과 이 일대 투자유치 활성화, 수도권 서부권역 균형발전, 인천공항의 정시성 확보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 대한교통학회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생산 유발 1조2000억 원, 부가가치 유발 4000억 원, 고용 유발 3000명, 취업 유발 4000명 등 효과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