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윤영찬 의원의 ‘카카오 뉴스 편집 압박 성 문자’ 논란에 대해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엄중하게 주의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우리 당 소속 의원(윤 의원 지칭)이 국회 회의 중에 한 포털 매체 관련 부적절한 문자를 보낸 것이 포착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윤 의원은 지난 8일 포털사이트 다음에 항의성 문자를 보내는 장면이 언론에 포착돼 구설수에 올랐다. 당시 화면에는 윤 의원이 다음카카오 뉴스에 실린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교섭단체 대표연설 뉴스를 놓고 보좌진에게 ‘카카오 관계자를 불러들여라’라는 대화를 보냈다.
주호영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 기사가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사이트 ‘다음’ 메인화면에 이낙연 대표의 연설(지난 7일) 기사보다 빠르게 배치됐다는 이유에서다.
윤 의원은 문재인 정부 초대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지냈으며, 네이버에서 대외협력 담당 이사와 부사장을 지내기도 했다.
더욱이 윤의원은 정보통신 기관·법률을 담당하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이다. 이로 인해 여권발 포털 외압이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졌다.
이 대표는 "윤 의원에게 알아보니 우리 당 (교섭단체) 대표연설과 야당의 대표연설을 불공정하게 다뤘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면서도 "그럼에도 오해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일과 관련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기국회를 앞두고 윤 의원과 관련한 논란이 자칫 빌미가 될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서둘러 진화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박근혜 정부 당시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KBS에 전화를 해 ‘세월호 보도 개입’ 혐의로 기소돼 대법원으로부터 벌금형을 받은 사태를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윤 의원 개인을 겨냥했다기보다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여당이 책임 있고 자중자해하는 모습을 보여 주자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이 대표는 이날 당 소속 의원들에게 언행의 주의를 당부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이 대표는 회의에서 "윤 의원뿐 아니라 몇몇 의원이 국민에게 걱정 드리는 언동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국민께 걱정을 드리는 언동을 삼가 줄 것을 주문했다.
이 대표가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일부 의원들이 부동산 정책이나 추미애 법무장관 아들 의혹 등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발언 논란을 한 번에 지적한 것으로 해석된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