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대 국회 신규 등록 의원들의 신고재산이 당선 후 1인당 평균 1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신고재산 총 증가액은 1700억원에 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4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신규 등록 국회의원 175명(재등록의무자 21인 포함)의 당선 전후 전체 재산과 부동산 재산을 비교·분석한 결과, 당선 후 이들의 신고재산은 평균 10억원, 부동산 재산은 평균 9000만원 늘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4.15 총선 전 후보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재산신고 내용(작년 12월 31일 보유기준)과 당선 이후 국회사무처에 신고한 재산(올해 5월 30일 보유기준)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다. 부동산 임차권은 재산에서 제외됐다.
신규등록 의원들은 입후보 당시 선관위에 평균 18억18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지만, 당선 후 재산은 28억1400만원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산은 당선 이후 총 1700억원 넘게 불어났다.
재산이 10억원 이상 늘어난 의원은 15명으로, 평균 111억7000만원이 증가했다.
재산 증가액이 가장 큰 의원은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으로, 후보 당시 48억원이었으나 당선 이후에는 914억원으로 급증, 늘어난 재산이 866억 원에 달했다.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도 각각 288억원, 172억원 증가했다.
신규 등록 의원들이 신고한 부동산 재산 중 가치가 1억원 이상 증가한 의원은 60명으로, 이 중 12명은 1인당 평균 8억원 증가했다.
증가액이 가장 큰 의원은 이수진 민주당 의원(지역구)으로 당시 5억4000만원에서 23억2000만원으로 17억8000만원이 증가했다.
국민의힘 서병수 의원은 본인 토지 및 자녀 주택 등이 추가돼 부동산 재산이 16억원이 증가했고, 전봉민 의원도 분양권에 대해 납부한 잔금이 재산으로 등록되면서 12억3000만원 늘었다.
민주당 이낙연 의원은 서울 서초구 아파트 매도와 종로구 아파트 매입으로 부동산 가액이 6억3000만원 증가했고, 민주당 김홍걸 의원이 신고한 아파트와 상가 등 4채의 부동산 가액은 76억4000만원에서 81억6000만 원으로 늘었다.
당선 이후 재산이 감소한 의원도 있었다. 김예지, 김승수, 윤미향, 김민철 의원은 후보등록 때 공개했던 부모 재산을 고지 거부해 재산이 감소했고 조명희, 김민석 의원 등은 신고가액 변동으로 재산이 줄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