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경기도당이 6‧1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들에 대한 공천 작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 기초단체장 경선 방식을 놓고 불공정 시비가 불거지고 있다.
권리당원 50%, 일반여론 50%의 기존 경선 방식은 권리당원 명단을 확보하고 있는 직전 당협위원장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때문에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공정한 경선을 기대할 수 없는 만큼 당협위원장 출마 지역은 100% 일반여론조사를 통해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특히 경선 일정과 관련해 어떠한 방침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경선 주요 일정표’가 일부 예비후보 사이에서 나돌아 다녀 ‘깜깜이 경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18일 경기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국민의힘 경기도당(도당)은 오는 6‧1 지방선거 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공천 작업을 진행 중이다.
도당은 지난 13일부터 이틀에 걸쳐 수원‧용인‧고양 등 특례시를 제외한 28개 시‧군 기초단체장 예비후보에 대한 면접을 진행, 결과를 취합해 예비후보를 압축‧경선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도내 원외 당협위원장이 대거 기초단체장 선거에 나서면서 경선 방식을 놓고 불공정 시비가 일고 있다.
권리당원 50%, 일반여론 50%의 기존 방식은 직전 당협위원장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권리당원 명단을 확보하고 있는 당협위원장이 이를 통해 선거운동을 벌일 경우 다른 예비후보들은 경쟁에서 일방적으로 뒤처지기 때문이다.
당협위원장이 기초단체장 선거에 나선 지역은 과천, 광명, 군포, 남양주, 부천, 수원, 시흥, 성남, 오산, 안산, 안양, 용인, 의정부, 평택, 파주, 화성 등 16곳이다.
한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는 “권리당원 명단을 확보한 당협위원장과 기존 룰대로 경선을 치른다면 공정한 경선이 될지 의문”이라며 “당협위원장이 출마한 지역만이라도 100% 일반여론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기초단체장 예비후보 역시 “우리지역의 경우 권리당원과 일반시민 비율이 1:200”이라며 “당협위원장이 권리당원을 동원하면 경쟁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체 유권자가 아닌 소수 권리당원이 주도하는 경선은 기울어진 운동장이 될 것”이라며 “도당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면 무소속 출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도당의 ‘깜깜이 경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부 기초단체장 예비후보 사이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경선 주요 일정표’가 나돌아 다니면서 도당이 특정 후보를 밀어주기 위한 꼼수를 부리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더해지고 있다.
경기신문이 입수한 ‘경선 주요 일정(안)’을 보면 ▲4월19~24일 여론조사 ▲4월25~30일 공천자발표 ▲5월9일 지방선거공천자 최고위의결 마감 ▲5월11일 공천자 필승경의대회 등 경선 일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경선을 준비하는 대부분의 예비후보들은 ‘경선 일정’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했고, 당장 후보자 확정을 위한 여론조사가 진행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한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는 “경선 일정에 대해 도당으로부터 어떠한 방침도 받은 것이 없다”면서 “통보도 없이 후보를 선출하는 여론조사가 갑자기 진행된다면 특정 후보를 밀어주기 위한 꼼수라고 밖에 볼 수 없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도당은 경선과 관련해서는 현재 구체적인 방침이 정해진 것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도당 관계자는 “19일 저녁에 논의를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단 오후까지는 아무 상황이 없다”며 “여론조사를 포함해 어떠한 일정표도 아직 없다”고 말했다.
또 권리당원 50%, 일반여론 50%의 방식은 직전 당협위원장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주장에는 “당협위원장은 그 지역을 계속 관리했을 거고 그에 따라서 당원 명부도 다 확보가 돼 있으신 분들이라 그걸 모르고 경쟁하러 나온 그분들이 이상한 것”이라고 답했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