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제11차 회의를 열고 산불 피해 현황과 추가 예방조치, 이재민 지원을 위한 각 부처·기관의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1일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이날 오전 9시 울산·경북·경남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주재하며 "주민의 일상 회복을 최우선으로 피해 복구에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고 본부장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는 이재민들께서 보다 편안한 주거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라며 "어제까지 1800여 명의 이재민이 마을회관, 공공기관 연수시설 등 생활 근거지로 이동했다. 희망자에 한해 임시주거시설로의 이주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임시대피시설에 머무는 이재민은 연수·숙박시설로 이동 중이다. 정부는 임시조립주택과 LH 전세주택 등 장기적 주거 지원 방안도 마련하고 있으며 체육관·학교 등 임시대피시설에 머무는 이재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재민의 희망에 따라 연수·숙박시설로 이동하고 있다.
정부는 이달 말 기준 광범위한 지역에서 대규모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이재민 구호와 신속한 수습·복구에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이에 경북·경남 지역에 재난안전특별교부세 226억 원을 추가했는데 앞서 지원한 81억 원을 포함하면 총 307억 원이 투입된다. 교부세는 산불피해 잔해물 처리, 임시주거 지원,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 안전조치에 사용될 예정이다.
또 경북·경남 지역에는 중앙합동지원센터가 설치돼 72개 기관, 102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재민 구호부터 주거·영농·융자·법률 상담까지 민원 전반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피해 농가에 대해서는 농기계 무상 임대, 수리봉사반 운영, 농업재해 보상금 신속 지급 등 영농 재개를 위한 대책이 병행되고 있다.
아울러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구성해 응급복구, 주거 안정, 생계 지원 등을 총괄하며, 중앙피해합동조사단 운영에 앞서 사전 조사반을 현장에 파견해 지자체 조사도 지원한다.
고 본부장은 "광범위한 지역에 발생한 산림소실, 인명·재산 피해의 신속한 복구에 관계기관의 역량을 결집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현장에서 피해 지역을 돕기 위해 이재민 생활지원, 의료지원, 시설 복구, 농기계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봉사해 주시는 분들께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박희상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