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금을 이렇게 허투루 쓰다니 한심합니다.”
10억 넘는 예산을 투입한 56번 국지도 법원지하차도 상부에 설치된 신석기 유적지 공원이 행정당국의 무관심 속에 폐허로 방치되고 있다.
14일 파주시에 따르면 지난 2014년년 56번 조리~법원 국지도를 신설하던 중 대능리 지역에서 6000년 전으로 보이는 신석기시대 유물과 조선시대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출토된 유물은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와 주거지 39기와 수혈(땅을 파서 만든 주거지) 1기, 조선시대 후기~근대 건물지, 숯가마 등 70여기의 유물이 발견됐다.
당시 문화재위원회에서는 “이 유구들은 중서부 내륙지역의 구릉지대에 해당하는 대규모 마을 유적이라는 점과 유구의 형태 및 구조, 내부시설, 출토유물 등으로 볼 때 당시 생활양식을 연구하는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하면서 원형보존 기준평점을 상회한 88.89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보존과 공원조성 등에 대한 경기도건설본부와 매장문화재분과위원의 7차례 논의 끝에 현재의 모습인 유적공원으로 조성됐다.
그러나 조성 당시부터 허술한 설계가 논란이 됐었다.
도로 개설에 따라 서둘러 조성한 탓에 안내판은커녕 진입로가 협소하고 주차장도 없어 유적공원으로서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현재 이곳에 조성된 유적지 재현시설물은 시설물이 아닌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재현된 움집은 대부분 썩어 구멍이 뚫리고 아무렇게 던져놓은 소화기가 움집을 지키고 있다.
주거지로 재현한 곳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안내판은 이미 색이 바래거나 떨어져 나가고 재현된 수혈은 쓰레기와 낙엽이 구멍을 메꿨다.
경기도로부터 관리권을 이관받은 파주시도 관리부실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우선 법원읍이 2021년 움집 보수에 나섰지만 이후 관리의 지속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파주시 관계자는 “유적공원 조성하면서 10억 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고 있으며 현재 신석기시대 발굴 유구를 복제해 재현한 것이기에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지 못한 사연이 있다”면서 “올해 5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전반적인 정비를 추진하겠지만 영구적이지 못한 요소가 있어 답답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현시설임을 감안, 보수에 한계가 있어 장기적으로 관련 부서와 신중히 검토해 철거하는 방안도 고민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물발굴 당시 법원읍 주민들은 ‘파주시 관광 발전을 위한 좋은 테마거리’라며 반색하면서 연천군처럼 선사시대 유적지로 관광지 개발을 주장했지만 현재처럼 재현으로 축소되면서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 경기신문 = 김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