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기고] 안양시 청소년재단 대표 후보자의 자진사퇴는 명백한 행정 실패
최근 안양시 청소년재단 대표이사의 자진사퇴는 단순한 인사 실패가 아니라, 예견된 파국이었다. 이는 안양시가 지속적으로 반복해온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하면 돼) 인사’, ‘퇴·캠·낙(퇴직공무원, 캠프 출신, 낙하산) 인사’라는 후진적 인사 관행이 자초한 결과이며, 명백한 ‘행정 실패’다. 안양시의 출자·출연기관은 시민의 삶과 가장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정책 실행의 현장이다. 이 기관의 수장 선임은 행정의 철학과 통치의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그 인사 시스템은 곧 지방자치의 품격을 결정짓는다. 하지만 최대호 시장은 이러한 기본을 무시한 채, 인사를 정무적 보은과 사적 관계의 도구로 전락시켰다. 이번 청소년재단 대표이사 채용의 결말은 처참했다. 채용 과정에서 형식적 공모, 편향된 면접, 그리고 인사청문회에서 전문성과 도덕성 결여 문제 등이 제기됐다. 시장은 이 모든 지적을 무시한 채, '측근 챙기기'라는 비난을 자초하며 임명을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청문회를 연지 8일 만에 후보자는 여론과 조직 내 반발 속에 스스로 사퇴했다. 이는 자진사퇴가 아니라, 시민들의 상식이 만들어낸 강제 퇴진이었다. 이것은 사실상 최대호 시장의 인사에 대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