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소재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28일 경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오전 6시쯤 김포시 양촌읍 종이 박스 제조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공장에 있던 사람들은 각자 대피해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인력 66명과 장비 24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실시했다. 화재 발생 약 3시간 18분 만인 9시 19분쯤 불은 완전히 진압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자세한 화재 원인과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황민 인턴기자 ]
화성 소재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해 장시간 진화 작업이 이어졌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28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27일 오후 7시 33분쯤 화성시 향남읍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주택 한 동이 전소 중인 것을 확인하고 인력 40명과 장비 16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에 나섰다. 이후 화재 발생 약 1시간 만인 오후 8시 40분쯤 큰 불을 잡았고, 이후 오후 10시 21분 불을 완전히 껐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굴삭기를 투입해 연소확대를 저지하는 등으로 화재를 완전히 진압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됐다"고 설명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자세한 화재 원인과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황민 인턴기자 ]
안산 소재 공장에서 배터리 열폭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건물 내부가 일부가 불에 탔으나 인명피해는 없었다. 28일 안산소방서에 따르면 오전 12시 25분쯤 안산시 단원구 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당시 내부에 사람이 없어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다만 공장 내부 및 일부 집기가 불에 타는 등 재산피해가 났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오전 12시 36분쯤 인력 61명과 장비 22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에 나섰고 화재 발생 약 20분 만인 오전 12시 48불 큰 불을 잡았다. 이어 오전 12시 58분쯤 불을 완전히 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전동공구 배터리 충전 중 열폭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자세한 화재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황민 인턴기자 ]
김포 소재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당국이 밤샘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28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 27일 오후 9시 42분쯤 김포시 한 가구제조업체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으나 공장 조립식 건물 3개 동이 불에 타는 등 피해가 난 것으로 알려졌다. 공장에 불이 났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당국은 인근 건물로 불이 번지자 대응1단계를 발령하고, 인력 117명과 장비 29대를 투입했다. 이후 약 40분 만인 오후 10시 25분 큰 불을 잡았으며 대응 단계를 해제했다. 다만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 때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완진 후 자세한 화재 원인을 조사할 방침이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황민 인턴기자 ]
교통사고로 위장해 보험금 약 5000만 원을 챙긴 배달 기사들이 경찰에 체포됐다. 27일 경기북부경찰청 교통조사계는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배달 기사 11명을 검거해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남양주에서 오토바이를 고의로 충돌시키거나 허위 사고를 꾸며 14차례에 걸쳐 약 5000만 원의 보험금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주범인 30대 남성 A씨를 포함한 11명은 배달대행업체 동료 사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2인 1조로 짝을 지어 차량과 오토바이로 분담해 고의로 사고를 내는 등 보험사기를 공모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이미 파손된 휴대전화를 피해 물품이라 주장하며 보험사에 수리 견적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수법으로 한 건당 4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편취하여 총 700만 원을 챙겼다. 휴대전화는 실제 사용 중인 기기가 아닌 공기계로, 공범들이 돌려쓰며 보험금을 편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대인 접수를 통해 허위로 치료비와 합의금을 받아낸 뒤 서로 나눠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보험사의 신고를 통해 수사에 착수해 과거 배달대행업체 동료 관계 등 인적 연결고리를 추적했다. 한국도로교통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