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이번 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1기와 큐브위성 7기 등 본격적으로 실용급 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첫 사례다.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기립장치가 제거된 채 발사대에 고정돼 있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1기와 큐브위성 7기 등 본격적으로 실용급 위성을 탑재해 발사하는 첫 사례다.
25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에서 다양한 미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발사 예정시간을 2시간여 남기고 발사가 중단됐던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5일 문제를 해결하고 애초 예정시간에서 꼭 하루가 지난 이날 오후 6시 24분 다시 발사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전 11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발사 준비 자동 제어 시스템과 발사대 장비 제어시스템 점검 및 조치 결과를 보고받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 오후 3시 지상 헬륨공급 시스템에서 압력을 낮춰주는 해압 밸브 구동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자 항우연 연구진은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구진이 밤새 제어 프로그램 시험과 점검을 진행 중 발사대 헬륨탱크 PLC라는 장치에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걸 확인했고 제어프로그램을 수정 작업했다"며 "반복시험을 통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걸 최종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제어프로그램의 명령어가 전송 과정에서 충돌하는 문제를 발견해 이를 피하기 위해 명령 간 간격을 넓혀주는 작업을 진행했다. 문제 해결 후 연구진은 새벽 5시께 반복 시험을 6차례 진행해 설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점검에서 다른 하드웨어 문제는 발견되지
24일 오후로 예정됐던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발사가 예정시각을 몇 시간 앞두고 무산됐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이날 오후 4시 10분 나로우주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오늘 누리호 3차 발사 준비 과정 중 저온 헬륨 공급 밸브 제어 과정에서 발사 제어 컴퓨터와 발사대 설비 제어 컴퓨터 간 통신 이상이 발생했다"며 이날 발사가 무산됐다고 밝혔다. 오 차관은 "밸브 자체는 문제가 없어 수동 작동되지만, 이 과정 자체가, 밸브 운용 시스템 자체가 자동 운용 모드에 가면 중단될 우려가 있어 부득이하게 발사를 취소한다"고 말했다. 오 차관은 "내일 발사가 가능한지 여부는 오늘 시스템 문제 원인 파악 및 해결 여부에 따라 달려 있다"며 "문제가 내일 오전 중 해결된다면 제반사항을 고려해 (내일) 발사 가능 여부를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해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4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프레스룸에서 '누리호 3차 발사시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4일 발사를 몇 시간 앞두고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오후 3시 30분께 누리호 발사 준비 과정 중 기술적 문제가 발생해 즉시 발사관리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항우연 연구진들이 세부 상황 원인을 파악 중이며 구체적 상황을 확인하는 대로 브리핑을 통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24일 누리호 3차 발사 성공 기준에 대해 "발사체가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목표 고도인 550㎞에 초속 7.6㎞로 진입하는 게 첫 번째 기준"이라고 말했다. 오 차관은 이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누리호가 실은 8개 위성이 정확하게 정해진 순서에 따라 사출하는 것도 판단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누리호는 이날 오후 6시 24분 차세대소형위성 2호와 도요샛 4기, 민간기업 큐브위성 3기 등 8기 위성을 싣고 우주에 오른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사출 여부는 누리호가 보낸 데이터와 영상 등을 토대로 판단할 수 있을 전망이다. 오 차관은 "오후 7시 40분 기준 분석된 데이터로는 아마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정확히 사출됐는지는 파악할 수 있고 나머지 7개 큐브위성은 사출관이 열린 정도를 데이터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스프링에 의해 큐브위성이 사출되는데 이를 토대로 제대로 사출됐는지 파악하고 판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큐브위성은 사출관에서 나가는 건 확인할 수 있지만 영상은 찍히지 않아 비컨 신호를 받아보고 정해진 궤도를 가고 있는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누리호 기립 작업은 11시 33분 완료됐으며 오후에는 누리호에 전원과 연료, 산화제 등 추진제를 충전하기 위한 발사대 연결과 추진제가 새지 않을지 확인하는 기밀점검 등 발사 준비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23일 오후 경기도 평택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국제여객선 입항 중 화재 발생 상황을 가정한 '국제여객선 복합재난 합동 대응 훈련'이 열리고 있다. [공동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