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최북단 포천 영북로에 위치한 포천 영북초등학교는 1924년 7월 설립인가 되고 1953년 수복 후 개교, 그간 운암초, 대화산 분교, 산호초, 보광분교 등이 통·폐합돼 만들어진 포천 등 경기북부 일대의 역사 깊은 대표적인 학교다. 지난 1월 89번째 졸업생 50명을 배출했으며, 영북초를 거친 졸업생만 1…
수원 태장초등학교가 개교 100주년을 맞았다. 지난 28일에는 ‘함께 한 100년, 함께 할 100년’을 주제로 기념 행사도 열었다. 태장초는 1921년 4월 28일 4년제로 문을 열었다. 1942년 6년제로 인가받아 1996년 태장초등학교로 학교 이름을 변경했다. 올해까지 모두 1만402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사…
경기도교육청이 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 학교 밖 청소년 초·중학교 학력인정을 위한 학력심의위원회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학교 밖 청소년 학력심의위원회는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 학생 학습지원 시범사업’에 등록된 청소년 중 한국교육개발원 학력인정평가를 통과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경기도교육이 다음 달 3일부터 말일까지 ‘2021년 경기도교육청 청렴 콘텐츠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교육공동체의 청렴 인식을 높이고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것으로 일상에서 경험한 청렴과 관련한 내용을 주제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공모 분야는 시, 포스터, 캘리그라피, 영…
경기도교육청이 네이버와 미래형 학습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 도입을 위해 28일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 협약은 도내 학교 현장에 교육 서비스 플랫폼인 웨일 스페이스를 도입해 안정적인 원격수업 환경을 조성하고, 에듀테크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업무 협약에는 김규태 제1부교…
Q.공간혁신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대한민국 학교 공통점은 교실 내부가 직선으로 조성돼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없는 없는 공간이라는 점이다. 색다른 공간에서 새로운 관계가 탄생한다고 생각한다. 아이디어를 계속 내고 더욱 최적화된 교실 공간을 위해 교사, 학부모, 학생 등이 머리를 맞대는 것이…
학생들이 배움에서 멀어지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그 내용과 방법이 학생들의 삶과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자신의 삶에 주인이 되어야 할 학생들은 그동안 교과 사이에 엄격한 구획과 단절이 지속된 환경에서 배움과 삶의 공간이 분리돼 수동적 교육을 받아 왔다. 군포 둔대초등학교는 이 같은 교육 문화에…
Q. 공간혁신에 대한 소회가 있다면? 2019년 9월 대덕에 부임했다. 전에 있던 학교에서도 공간혁신을 신청했어서 사업에 대한 나룸의 고민을 한 상태로 부임했다. 흔히 말해 전국에 있는 모든 초등학교 교실이 똑같다. 획일화 됐다. 교육 과정 역시 지역의 특색이 반영되지 않고, 일률적이다. 학교 중심의 교육과…
“개구리 선생님, 여기 좀 와보세요. 복도에 벌레가 있어요!” 드르륵. 교장실의 문이 열리고 2학년 학생들이 우루루 들어와 교장 선생님과 벌레를 잡으러 간다. 안성 대덕초등학교의 일상이다. 대덕초는 공간혁신 사업을 위해 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한마음 한뜻으로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 6개월의 대장정을…
Q. 공간혁신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다면? = 우리 학교는 지난 2017년 개교한 비교적 최신 시설을 갖추고 있었고, 유휴교실이 많이 있었지만 해마다 학급 수가 늘어 학생들을 맞이하기 위한 교실을 만드느라 바빴다. 그 후에도 남은 공간에 대해 ‘어떻게 할까?’ 고민을 하고 있던 차에 그때 마침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