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은 오는 28일 대강당에서 ‘다양한 문화가 함께하는 박물관의 어린이 교육’을 주제로 어린이박물관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다문화 사회에서 박물관 교육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구체적 실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어린이에게 편견 없는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지 전문가들의 사례공유가 이어진다. 첫 번째 발표는 ‘문화다양성 정책과 박물관’으로 한건수 교수(강원대학교 문화인류학과)가 한국의 문화다양성 정책의 변화 과정과 문화다양성 관점에서의 박물관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두 번째 발표는 ‘학교의 다문화 교육과 박물관 교육의 연계’를 주제로 김성식 교수(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가 다문화 교육을 위한 학교와 박물관의 연계 방안을 제시한다. 세 번째 발표는 ‘상호문화교육을 잇는 박물관 교육’으로 장한업 교수(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가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방향성과 유럽 내 상호문화박물관 사례를 발표한다. 네 번째 발표는 ‘다문화 감수성 확장을 위한 도시역사박물관의 역할’로 오지영 학예연구사(서울역사박물관)가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향후 운영의 시사점을
옻나무의 천연 수액을 가공한 도료로 칠을 한 그릇 ‘칠기’는 약 8000년 전 중국에서 시작돼 실크로드와 각종 무역로 등을 통해 동아시아 전역에 전파됐다. 고대부터 명·청대까지 수 천년 동안 발전했고 한국, 일본, 중국에선 옻나무의 우루시올 성분을 공통적으로 사용해 각각 특색 있는 칠기 문화를 발전시켰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국, 일본, 중국의 ‘칠기’를 주제로 한 전시 ‘三國三色-동아시아의 칠기’를 개최하고 있다. 각 국가의 국립박물관의 공동특별전으로, 2006년 박물관 간 상호 협력과 교류 활성화를 위한 합의의 결과물이다. 삼국은 2014년 이래 도자기, 회화, 청동기 등 삼국 문화를 포괄할 수 있는 주제를 전시해 왔고, 올해는 삼국의 ‘칠기’를 주제로 개최하게 됐다. 전시는 크게 ‘1부 중국 – 오랜 역사와 다양한 기법, 정교한 조각 기술’,‘ 2부 한국 – 1000년을 이어온 빛, 나전칠기’,‘ 3부 일본 – 마키에(蒔繪) 칠기, 금과 은으로 그린 그림’으로 구성됐다. 삼국 칠기의 포면을 장식한 기법에 주목해 아름다움과 개성을 자랑하는 칠기 46건을 모았다. 영롱한 진주빛의 자개를 붙여 꾸민 한국의 나전칠기, 금가루를 정교하게 가공해 표면에 뿌려 꾸민
미국 서부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인디언’은 북미 원주민을 일컫는 말이다. 붉은 색 독수리 깃털로 만든 모자를 쓴 채 말을 타고 평원을 달리는 그들의 모습에서 자연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인디언’ 부족은 위치와 기후에 따라 크게 10개의 문화권으로 나뉘며 570여개의 부족이 있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북미 원주민의 삶과 문화를 다룬 전시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이 열리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북미 원주민에 대한 전시로 그들의 삶과 문화를 담은 151점의 전시품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설명한다. 원주민 미술로 잘 알려진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시에 위치한 덴버박물관과 공동으로 기획한 특별전이다. 전시는 ‘1부 하늘과 땅에 감사한 사람들: 상상을 뛰어넘는 문화적 다양성 ’, ‘2부 또 다른 세상과 마주한 사람들: 갈등과 위기를 넘어 이어온 힘’으로 구성된다. 1부에선 34개 부족의 유물을 통해 그들의 삶과 문화를 설명하고 2부에선 각 부족의 공예품을 통해 예술을 보여준다. 전시의 시작은 1915년 경 카이오와족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요람’부터이다. 카이오와족은 우리에게 모든 것을 주는 자연을 가장 큰 선생님으로, 아이가 자연을 배울 수
생명력이 넘쳐흐르는 연꽃과 부드러운 곡선을 띄며 자라나는 넝쿨들, 울창하게 뻗은 나무들은 남인도의 상징이다. 남인도는 적도 부근에 위치해 사시사철 덥고 습하며 여름엔 계절풍을 따라 많은 비가 내린다. 대지에선 다양한 생명이 자라며 숲속에는 신비로운 정령들이 산다. 기원전 5세기 남인도에 불교가 전파된 이후 독특한 문화가 형성됐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는 ‘스투파의 숲, 신비로운 인도 이야기’는 남인도에 존재했던 신들과 불교가 전파된 이후 생겨난 조각상, 부조 등 97점을 전시하고 있다. 인도 뉴델리국립박물관, 영국박물관 등이 소장한 기원전 2세기~기원후 4세기 유물들을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과 함께 공개하는 것이다. 인도의 불교는 기원전 5세기 북인도 갠지스강 근처에서 시작됐다. 석가모니는 샤카족의 왕자로 ‘깨달은 자’라는 뜻이다. 석가모니는 룸비니 동산에서 마야부인의 오른쪽 옆구리에서 태어나 30살에 출가한 후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다. 이후 설법을 이어가다 열반에 드는데 그의 말씀과 법문은 종교가 돼 지금까지 전 세계에 전해진다. ‘스투파’는 이런 석가모니와 승려가 죽은 후 몸에서 나온 사리를 모신 탑이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든 후 사리는
국립중앙박물관은 575돌 한글날을 맞아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유족이 기증한 유물 중 ‘석보상절(釋譜詳節)’ 초간본 두 권과 갑인자로 추정되는 금속활자 150여 점을 공개한다. 박물관이 30일부터 상설전시관 1층 중근세관 조선1실에서 공개하는 ‘석보상절’ 권20과 권21은 세종대에 만든 한글활자와 갑인자로 찍은 초간본이다. 학계에만 알려진 두 책이 일반에 선보이는 건 처음이다. ‘석보상절’은 1447년(세종 29) 세종의 왕후인 소헌왕후 심 씨(1395~1446)의 명복을 빌고자 간행된 책이다. 훗날 세조가 되는 수양대군이 세종의 명을 받아 부처의 일대기와 설법 등을 정리해 한글로 번역했다. 원래 모두 24권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이번에 전시되는 권20·21은 세종 연간에 간행된 초간본으로 앞서 보물로 지정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권6·9·13·19와 동국대도서관이 소장한 권23·24와 같은 판본으로 추정된다. 박물관은 “이번에 공개되는 ‘석보상절’은 그동안 연구자들 사이에서만 알려져 있어, 국민들이 실제로 관람하면서 기증의 의미를 되새기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16년인 1434년에 제작된 갑인자(甲寅字)로 추정되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기증품을 특별 공개하는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을 선보인다. 21일 막을 올리는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2층 서화실에서 9월 26일까지 진행하며, 국보 제216호 ‘인왕제색도’ 등 명품 45건 총 77점으로 꾸며졌다. 이 회장 유족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9797건 2만1600여점은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금속, 도토기, 전적, 서화, 목가구 등으로 폭넓고 다양하다. 이수경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명품을 명품답게 자세히 보여드리겠다는 목적이었고, 신속하게 공개하기 위해 상설전시관에 마련했다”면서 “아예 새롭게 선보이는 작품은 아니지만 문화에 대한 진정한 관심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건희 회장이 생전에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은 인류 문화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서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처럼 이번 전시는 그의 철학과 전통 문화유산 컬렉션의 성격을 보여주는 대표작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동기시대를 비롯해 초기철기시대, 청동기, 삼국시대, 조선시대 등 우리나라 전 시기와 전 분야를 다루고 있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의 기증품이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21일 동시 개막한다. ‘이건희 컬렉션’ 중 우리나라 전 시기와 분야를 포괄하는 대표작들로만 구성, 명품을 명품답게 선보인다는 점이 주된 내용이다. 이건희 회장은 생전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은 인류 문화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서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의 철학에서 볼 수 있듯 이번 전시는 수준 높은 예술작품을 국민과 함께 향유하고자 한 뜻이 담겨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서 ‘위대한 문화유산 누리다’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은 21일부터 9월 26일까지 상설전시관 2층 서화실에서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을 개최한다. 이건희 회장 유족이 박물관에 기증한 9797건 2만1600여 점은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금속과 도토기, 전적, 서화, 목가구 등으로 폭넓고 다양하다. 이번 전시는 시대와 분야를 대표하는 국보·보물 28건을 포함한 명품 45건 77점을 특별 공개하는 자리다. 이수경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명품을 명품답게 자세히 보여드리겠다는 목적이었고, 신속하게 공개
문화체육관광부가 故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 2만3000여 점을 통합·소장할 별도의 기증관을 건립키로 하고, 후보지를 서울 용산과 송현동 2곳으로 압축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 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을 위한 기본원칙 및 활용 기본방향’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활용방안을 설명했다. 황 장관은 “기증품을 통합적으로 소장·관리하면서, 분야와 시대를 넘나드는 조사·연구·전시·교류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증관이 필요하다”며 “기증품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건립되는 기증관과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과의 유기적 협력체를 구축해 새로운 장을 열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 4월 이건희 회장 유족 측이 문화재 및 미술품 등 총 2만3181점을 기증한 이후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별도 전담팀과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위원회’를 운영해왔다. 총 10차례 논의를 거친 위원회는 기증품 활용에 대한 주요 원칙을 정립하고 단계별 활용방안을 마련한데 이어, 기증관이 들어설 부지로 용산과 송현동 2곳이 최적이라 제안했다. 황희 장관은 “서울 용산과 송현동 부지 모두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도 지나고 봄기운이 찾아오는 3월,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인생의 겨울을 보내고 봄을 기다리는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만나볼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기획전시실에서 ‘한겨울 지나 봄 오듯 - 세한歲寒 평안平安’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막을 올린 이번 전시는 전시 제목처럼 겨울을 지나 꽃이 피고 봄기운이 완연한 4월까지 진행된다.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한겨울 지나 봄 오듯 - 세한歲寒 평안平安’ VR보기를 이용하면 마치 실제 전시장에 있는 듯한 환경에서 김정희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랜선 문화여행을 떠나보는 건 어떨까 싶다. ‘세한’은 설 전후의 가장 심한 추위를 이르는 말로 인생의 시련이나 고난에 비유하기도 한다. 전시 1부는 ‘세한歲寒 - 한겨울에도 변치 않는 푸르름’, 2부는 ‘평안平安 - 어느 봄날의 기억’을 주제로 19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학자이자 예술가 추사(秋史) 김정희가 1840년 제주도로 유배가면서 겪은 세한의 시간과 ‘세한도’의 제작배경을 조명한다. ◇추사 김정희, 제주에 유배되다 ‘세한의 시간 시작’ 안동 김문의 세도정치가 심해지면서 정쟁에 휘말린
국립중앙박물관이 제102주년 삼일절을 맞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태극기인 ‘데니 태극기’(등록문화재 제382호)를 특별 공개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3일부터 오는 3월 8일까지 상설전시실 대한제국실에서 데니 태극기를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이 태극기는 고종(재위 1863∼1907)이 당시 외교 고문인 오언 데니가 1890년 미국으로 돌아갈 때 하사한 것이다. 데니는 1886년 청나라의 리훙장 추천으로 외교 고문이 됐지만, 청의 간섭을 비판하고 조선이 주권독립국임을 주장했다. 이로 인해 청의 압력을 받은 그는 1890년 파면돼 미국으로 돌아갔다. 데니 태극기의 크기는 가로 263㎝, 세로 180㎝로 대형이다. 흰색 광목 두 폭을 이은 천에 붉은색과 푸른색 천을 오려서 바느질한 태극을 달았다. 4괘 형태와 배치는 지금의 태극기와 같지만 색은 검은색이 아닌 푸른색이다. 이 태극기는 데니의 후손인 윌리엄 랠스턴이 1980년 우리나라에 기증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데니 태극기와 함께 우리나라 태극기의 역사에 대해 소개하는 영상도 공개할 예정이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