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직원들이 지난달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탈플라스틱 사회전환 공감과 확산을 위해 SNS 생활 속 플라스틱 릴레이 캠페인(GoGo 챌린지)’에 동참하기로 했다. 플라스틱의 남용으로 미세 플라스틱이 어류의 몸 속에 쌓여 인류의 건강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해양오염문제가 심각한 현실에서 탈플라스틱의 실천을 위해 ‘하지 말아야 할 실천 1가지와 해야 할 실천 1가지’를 약속하는 고고챌린지는 지난 해 12월부터 환경부에서 시작된 매우 의미 있는 작은 실천 운동이다. 이번에 안산해양중학교의 챌린지를 이어받아 동참하게 된 경기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는 2016년부터 매년 생활협력을 제정, 일상에서의 민주주의를 실천해 오고 있다. 특히 민주시민교육과 생활협약 6.0의 5번째 생활협약 과제는 ‘자율적 실천이 있는 친환경 사무실’로써 개인 컵, 손수건 사용과 분리수거 생활화, 종이 및 일회용품 사용지양으로 환경 살리기를 부서 차원에서 실천해 오고 있다. 민주시민교육과에서는 ‘플라스틱은 줄이고! 환경은 살리고!’,‘일회용품은 줄이고! 개인 컵, 손수건 사용과 분리수거는 생활화하고, 등의 약속과 실천으로 지구 기후 위기를 극복할 저탄소 녹색성장은 물론 안
경기도교육청이 7일과 8일 이틀 동안 ‘경기 평화·통일교육 포럼’을 유튜브로 진행한다. 포럼은 7일 ‘독일통일 30년, 한반도의 미래 전망(김누리 교수, 중앙대)’, 8일 ‘남·북한 공생의 이유(최재천 석좌교수, 이화여대)’를 주제로 사전 신청한 교사와 교육전문직원 150여 명이 참여해 의견을 나눈다. 사전 신청을 놓친 참가 희망자는 도교육청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포럼에 참여할 수 있다. 경기도교육청 정태회 민주시민교육과장은 “이번 포럼은 경기교육 가족과 통일교육 전문가가 함께 평화・통일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독일 사례로 미래를 전망하는 기회”라면서, “통섭의 관점에서 남북한 공생의 의미를 깨닫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포럼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경기 평화・통일교육 중장기 정책을 세울 방침이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달 24일 ‘질문하고 생각하는 통일교육(박성춘 교수, 서울대)’을 주제로 1차 포럼을 진행한 바 있다. 여기서는 현재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변화 내용을 진단하고, 참여자들은 나이에 따른 평화・통일교육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1차 포럼에 참석했던 이광숙 교사(모현중)는 “우리 평화・통일교육이 분단상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