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1일 미얀마 권력을 장악한 군부와 이들의 쿠데타를 반대하며 길거리에 나선 시위자들이 현재까지 600명 넘게 사망했다. 국내에서는 군부쿠데타에 맞선 민주시민들을 응원하는 예술계의 움직임이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지난 10일 찾은 서울시 종로구 갤러리 나무아트에서는 생명평화 미술행동의 ‘미얀마 민주시민을 위한 미술행동’ 전시가 열리고 있었다. ‘Myanmar2021, Gwangju 1980(미얀마2021, 광주 1980)’이라는 제목이 가장 먼저 눈에 띄었다. 실제 광주출신 작가들은 1980년대 광주의 모습과 닮은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작품에 담아냈다. 이번 전시회는 지난달 15일 서울시 용산구 미얀마 대사관 앞에서 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시위에 나선 교민들과 함께 군부를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던 생명평화 미술행동 작가들이 의기투합한 자리이다. ‘여기서 끝내지 말고 제대로 전시를 해보자’고 결정한 작가들과 전시가 열리는 이곳 나무아트 갤러리 주인인 김진하 작가의 뜻이 모아졌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박재동 화백은 “우리 광주의 모습과 너무 같기 때문에 아픔이 직접적으로 느껴지고 관심이 가는 것”이라며 “이웃의 아픔을 나누는 나라, 전 세계가 하나라는
미얀마 민주화투쟁 지지를 위한 수원지역 순회 사진전 ‘미얀마의 色’이 시민들의 관심 속에 막을 올렸다. 25일 오전 11시 수원시청 로비에서 ‘미얀마 민주화투쟁 지지를 위한 수원지역 순회 사진전’이 개최됐다. 사진전 ‘미얀마의 色’은 군부 쿠데타에 맞서 민주화투쟁을 벌이고 있는 미얀마를 지원하고 싶다는 박일선 작가의 생각에서 비롯됐다. 박 작가는 “미얀마는 어둠의 땅이 아니다. 일상이 있는 곳”이라며 “티 없는 눈망울에서 온갖 향기를 뿜는 곳이다. 이런 모습을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 싶었다”고 소개했다. 이번 전시는 미얀마 민주화투쟁을 지지하는 수원시민모임이 주최했고, 경기신문을 비롯해 경기르네상스포럼, 수원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2049수원시민연구소, 푸른아시아센터가 뜻을 모아 마련했다. 1부는 박일선 작가가 2011년 미얀마에서 찍은 평화로운 생활과 자연, 인물관련 다큐 작품으로 꾸며졌다. 2부는 폭압받는 미얀마 현 시위관련, 3부는 환희의 미얀마 저항과 승리, 행복을 상징하는 사진으로 구성됐다. 박일선 작가는 작품 ‘재봉틀 누이’를 가리키며 “미얀마에서는 사찰에서 공부도 가르치고 직업훈련도 시킨다”고 설명했다. ‘누이 손끝에 우리 집이 달렸어/누이야/아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