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육상의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 선수들이 세계주니어육상선수권대회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김정윤(한국체대), 나마디 조엘진(김포과학기술고), 김동진(대구체고), 나현주(광주체고)로 구성된 한국 대표팀은 1일 페루 리마에서 열린 2024 세계육상연맹(WA) U-20 챔피언십 마지막 날 남자 400m 계주 결선에서 39초80의 기록으로 6위에 올랐다. 한국이 세계주니어육상선수권대회 남자 400m 계주에서 결선 무대에 오른 것은 1992년 서울 대회 이후 32년 만이다. 당시 한국은 예선 전체 7위로 결선에 오른 뒤 결선에서 8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전날 열린 예선 1조에서 김정윤, 나마디 조엘진, 김동진, 황의찬(과천시청)이 이어달려 39초71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끊었다. 이 기록은 지난 해 예천 아시아주니어육상선수권대회에서 작성한 40초32를 0.62초 앞당긴 20세 이하 한국신기록으로 기록됐다. 31개 팀이 4개 조로 나눠 치른 예선에서 조 1위를 차지하며 자동으로 결선 진출권을 얻은 한국은 예선 전체 순위에서도 자메이카(39초54), 태국(39초56)에 이어 3위를 차지하며 메달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러나 결선에
한국 20세 이하(U-20)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세계선수권대회를 14위로 마쳤다. 한국은 29일 북마케도니아 스코페에서 열린 제24회 세계 여자주니어핸드볼선수권대회 9일째 이집트와 13·14위전에서 23-29로 졌다. 이로써 한국은 32개 나라가 출전한 이번 대회를 14위로 마쳤다. 한국은 비유럽국가로는 이집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에 올랐고, 직전 대회인 2022년 19위에 비해서도 순위가 높아졌다. 전반 4분 김지아(삼척시청)의 선제골로 기선을 잡은 한국은 차서연(인천광역시청)과 이혜원(부산시설공단)이 번갈아가며 득점에 성공해 2~3점 차 리드를 이어갔다. 그러나 전반 중반 이후 이집트에 추격을 허용한 한국은 전반 24분 살라마 하템에게 9-9 동점을 허용한 뒤 가달라 카멜에게 연속골을 내주며 역전당했다. 이후 리드를 뺏았지 못한 한국은 11-12, 1점 뒤진 채 전반을 마쳤다. 후반 초반 이집트의 거센 공세에 수비라인이 무너지며 연속 골을 내준 한국은 후반 7분 만에 11-15, 4골 차까지 뒤졌지만 이후 추격에 성공 후반 10분 15-15 동점을 만들었다. 하지만 한국의 추격은 거기까지 였다. 후반 중반 이후 이집트의 공세에 또다시 밀린 한국은
‘스마일 점퍼’ 우상혁(27·용인시청)이 3개월 만에 ‘세계랭킹 1위’를 되찾았다. 세계육상연맹(WA)은 8일 홈페이지에 각 종목별 세계랭킹을 업데이트하면서 남자 높이뛰기 세계 1위를 우상혁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 7월 26일 세계랭킹 1위에 올랐던 우상혁은 올해 초 실내 시즌에 단 한 번만 출전한 탓에 평균 점수가 떨어져 3월 21일 세계랭킹 3위로 밀렸었다. 그러나 5월 6일 도하 다이아몬드리그 2위(2m27)에 이어 항저우 아시안게임 대표 선발전을 겸한 5월 9일 예천 KBS배 우승(2m32)과 5월 21일 요코하마 골든 그랑프리 우승(2m29), 로마·피렌체 다이아몬드리그 2위(2m30) 등으로 랭킹 포인트를 끌어올려 3개월여 만에 다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세계육상연맹은 ‘기록 순위’와 ‘세계랭킹 포인트’, 두 가지 순위를 따로 집계한다. 우상혁은 2023년 기록 순위에서는 2m32로 시즌 최고 2m33을 넘은 주본 해리슨(미국), 조엘 바덴(호주)에 이은 공동 3위를 차지했지만 대회별 성적을 포인트로 환산한 ‘세계랭킹’ 부문에서는 1위를 되찾았다. 세계육상연맹은 올림픽과 세계선수권 등 메이저대회는 18개월, 다른 종목은 최근 12개월 경기 결과를
우리가 사는 세상은 수학적 원리로 구성돼 있다. 세상은 도형과 법칙, 변화로 만들어진다. 전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를 통해 세상을 이루는 원리와 법칙,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변화를 알아본다. 광명시민회관에서 열리는 전시는 다섯 개의 체험존으로 구성돼 있다. 모양, 법칙, 공통점 찾기, 다양성, 변화를 주제로 수학 원리와 세상의 모습을 그려낸다. 체험존을 따라가다 보면 복잡해 보이기만 했던 세상이 한결 단순해진다.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체험존에선 기본 형태를 찾는다. 우리는 모두 다르게 생겼지만, 같은 부분을 갖고 있다. 공통점을 찾아보고 어떤 과정과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지 찾는다. 하나의 모양으로 몇 개의 다른 모양이 만들어지는지도 찾는다. ’연결의 법칙’ 체험존에서는 같은 재료와 구성을 사용해도 연결 방법을 바꾼다면 다른 결과를 얻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물을 연결할 때 나만의 법칙을 사용한다면 나만의 창작물이 나온다. ‘제목을 지어주세요’ 체험존에서는 작품에 제목을 단다. 매듭이 지어진 고리가 나열돼 있는데, 작가는 이 작품을 매듭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사물을 모아 만들었다. 매듭 간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찾고 나만의 규칙을 찾아 제목을 지
세계디지털아트페어(WDAF) 초대작가전이 28일부터 31일까지 용인 포은아트갤러리에서 열린다. ABS갤러리가 주관하는 이번 전시는 ‘그림을 노래하다’라는 주제로 권태원, 원종신 작가와 소프라노 김황경, 메조소프라노 변지현, 피아니스트 한미연이 함께 한다. 개막일인 28일에는 원종신 디렉터가 그림을 해설하고, 그림과 연상되는 노래가 연주되는 방식의 아트리노 살롱 콘서트가 진행돼 미술과 음악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예술가와 관객이 예술적 영감을 공유하는 장을 만든다. 권태원 작가는 ‘마리’라는 캐릭터를 활용해 작가 내면의 다채로운 이야기를 선보이고 있다. 권 작가는 2018년 그림책(시간선물)으로 경기콘텐츠진흥원 히든 작가에 선정됐으며, 다수의 아트페어와 개인전으로 대중과 만나고 있다. 송은문화재단과 소마미술관 아카이브 작가로 선정된 원종신 작사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이수했으며, 경기대 시각디자인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회화와 사진, 컴퓨터 세 가지 영역의 접합과 개입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이미지를 선보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권태원 작가는 ‘2070 기다림’이라는 작품에 2070년 우주로 이주하는 신인류의 감성
‘한국 고교 여자 컬링의 최강자’ 의정부 송현고가 2022~2023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 B디비전에서 값진 동메달을 획득했다. 송현고는 20일 밤 핀란드 로흐야 키사칼리오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여자부 동메달 결정전에서 튀르키예와 난타전 끝에 11-10, 1점 차로 신승을 거뒀다. 이로써 송현고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3위까지 주어지는 A디비전 출전권을 획득했다. 이혜인 코치의 지도아래 스킵(주장) 강보배, 서드 조주희, 세컨 김나연, 리드 이유선, 후보 천희서로 구성된 송현고는 주니어 대표로 출전한 이번 대회에서 준준결승까지 전승 행진을 이어갔다. B조 예선 1차전에서 체코에 6-3으로 승리를 거둔 송현고는 나이지리아를 18-1, 핀란드를 14-1, 네덜란드를 12-3, 카자흐스탄을 11-2로 각각 대파하고 5전 전승을 거두며 조 1위로 본선 8강에 합류했다. 8강에서 C조 2위 중국을 만나 6-4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둔 송현고는 4강에서 ‘강호’ 캐나다를 만나 접전을 펼쳤지만 1-1로 맞선 4엔드에 4실점하며 4-6으로 아쉽게 패해결승진출에 실패했다. 3~4위 동메달 결정전에 나선 송현고는 역시 4강에서 스코틀랜드에 2-7로 패한 튀르키예
‘한국 여자 고등부 컬링 강자’ 의정부 송현고가 2022~2023 세계주니어컬링선수권대회 B디비전 여자부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한국 주니어 국가대표인 송현고는 19일 핀란드 로흐야 키사칼리오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대회 여자부 8강전에서 중국에 6-4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고 4강행 티켓을 손에 넣었다. 이로써 송현고는 준결승전에서 캐나다를 상대로 결승진출을 다투게 됐다. 이혜인 코치의 지도아래 스킵(주장) 강보배, 서드 조주희, 세컨 김나연, 리드 이유선, 후보 천희서로 구성된 송현고는 주니어 대표로 출전한 이번 대회 예선에서 전승을 거두고 8강에 올랐다. 네덜란드, 카자흐스탄, 체코, 핀란드, 나이지리아와 함께 B조에 속한 송현고는 예선 1차전에서 체코를 6-3으로 꺾은 뒤 나이지리아를 18-1, 핀란드를 14-1, 네덜란드를 12-3, 카자흐스탄을 11-2로 각각 대파하고 5전 전승을 거두며 조 1위로 본선 8강에 합류했다. 8강에서 C조 2위 중국을 만난 송현고는 1엔드에 먼저 2점을 내주며 불안하게 출발했지만2엔드에 1점을 뽑아 1-2로 추격했다. 3엔드를 득점없이 마치며 ‘블랭크 엔드’를 만든 송현고는 4엔드에 상대 후공을 막아내며 2점을 뽑아 3-
컬링 스포츠계의 최대 행사인 세계컬링연맹(WCF) 총회가 내년 9월 역대 최대 규모로 서울시에서 개최된다. 대한컬링연맹(회장 김용빈)은 “지난 11일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2022 세계컬링총회에서 2023 세계컬링총회의 서울 개최를 공식 발표했다”고 15일 밝혔다. 한국에서 처음 열리는 제12차 세계컬링연맹 총회는 내년 9월 11일부터 15일까지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 파크텔에서 열린다. 내년 총회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68개 회원국 대표들과 세계컬링연맹(WCF) 이사회 및 사무처 등 200여명이 참석한다. ‘2023 세계컬링 서울총회’ 일정은 내년 9월 11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12일까지는 세계컬링연맹 이사회, 13~14일에는 컬링 정책 및 경기규정 등의 안건을 사전에 논의하는 오픈 미팅, 15일에는 본 총회가 열린다. 이외에도 연맹은 서울총회 기간 중 한국과 서울의 관광자원을 알릴 수 있는 문화예술, 정보통신기술, 명소 체험 및 방문 등 다양한 연계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내년 서울총회는 새롭게 선출된 세계컬링연맹 보 웰링(Beau Welling) 회장이 주관하는 첫 번째 세계총회인 만큼 이목이 쏠린다. 대한컬링연맹은 지난 3월 세계컬링연맹에 서울
한국 여자농구가 8개월 만에 세계랭킹을 한 계단 끌어올려 13위를 기록했다. 국제농구연맹(FIBA)은 22일 여자 세계랭킹을 발표하면서 랭킹 포인트 431.3점을 얻은 한국이 13위로 올라섰다고 밝혔다. 지난 해 6월 FIBA가 발표한 세계랭킹에서 한국은 14위였다. 당시 한국은 여자 아시아컵 준결승 진출과 함께 FIBA 여자농구 월드컵 2022 예선 토너먼트 진출권을 획득하며 세계랭킹을 19위에서 14위로 5계단 상승시킨 바 있다. 한국은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2022 FIBA 여자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브라질을 꺾고 1승2패로 A조 3위에 오르며 9월 호주에서 열리는 FIBA 여자농구 월드컵 2022 본선 출전권을 따냈다. 이로써 한국은 1964년 제4회 페루 대회(당시는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 이후 16회 연속 FIB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미국과 스페인, 호주, 캐나다가 여자농구 세계랭킹 1~4위를 유지했고 벨기에가 프랑스를 6위로 밀어내고 5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또 중국이 7위, 일본은 8위에 자리했다. 한편 FIBA는 홈페이지에 랭킹을 발표하는 보도자료와 함께 그래픽을 게재했다. 이 그래픽에는 ‘톱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