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은 어떤 환자가 내원할지 모르기 때문에 의사들은 항상 긴장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환자가 없다가 갑자기 몰릴 수 있고, 또 경증 환자 사이에 초응급 환자가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하루 24시간, 1년 365일 휴일 없이 진료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공간, 응급실. 한정된 의료자원으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응급환자에게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이를 진두지휘하는 의료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개소 1년차, 윌스기념병원 응급센터를 이끌고 있는 고동완 센터장에게 응급실 생활과 우리가 알고 있어야 할 응급상황에 대해 이야기 들어봤다. ◇ 24시간이 모자란 응급실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교대근무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보통 응급의학과 의사는 12시간씩 2교대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고 센터장은 출근해 가장 처음 환자파악과 인계를 한 뒤, 회진과 진료를 시작한다. 환자를 살피고 문진을 하고, 보호자 확인 뒤 신체 진찰을 거쳐 처방을 내린다. 이 때, 치료와 동시에 필요한 검사를 원활히 할 수 있게 진두지휘한다. 의료자원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환자를 책임져 원활히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검사 및 치료가 빨리 필요한데 안 되고 있을 때
유방조직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인 유방암. 여성 암 발생 순위 1위이지만,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려운 암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방암은 5년 생존율 93%로, 다른 주요 암에 비해 예후가 좋은 편에 속한다. 아주대병원 유방암센터에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치료받은 유방암 환자 3250여 명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조사한 결과, 수술 가능 환자의 5년 무재발생존율은 90.3%였다. 병기별 재발률도 1기 5%, 2기 11%, 3기 23%로 나타났다. 지난해 847명의 환자가 방문해 수술을 받은 아주대병원 유방암센터의 강석윤 센터장(종양혈액내과)에게 유방암 치료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그는 “비록 유방암의 발생은 증가 추세이지만, 조기에 발견 시 충분히 완치가 가능하고 재발하거나 전이가 동반된 상황에서도 적절한 치료를 진행한다면 장기간 생존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마음의 종양도 남지 않도록…환자의 ‘삶의 질’ 고려 강 센터장은 “이전에는 단순히 유방암을 진단, 치료성적에 집중했다면 현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갖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방암 수술 시 유방 절제 범위와 그에 따른 흉터를 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