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을 벽장에 숨기고 마음 졸이며 살아가는 아내의 마음과 자라면서 아버지와 마음껏 생활하지 못한 딸의 속상함이 김성녀의 표정으로 애절하게 다가온다. 매 순간 분장을 바꾸고 목소리를 바꾸며 연기하는 그의 모습에서 ‘천의 얼굴을 한 배우’라는 수식어가 떠오른다. 서울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김성녀의 뮤지컬 모노드라마 ‘벽 속의 요정’이 막을 올린다. 후쿠다 요시노리 원작으로 극작가 배삼식이 우리 상황에 맞게 각색한 작품이다. 2005년 ‘여배우시리즈’의 한 작품으로 초연해 많은 호평을 받았다. 배우 김성녀가 1인 32역을 소화하며 50여 년의 세월을 풀어놓는다. 초연 당시 올해의 예술상과 동아연극상 연기상 등을 수상했다. 극은 김성녀가 관객석으로 직접 걸어 들어와 말을 걸며 시작한다. 연기를 시작하겠다는 말과 함께 무대에 올라 이야기를 시작한다. 5살 정도의 어린아이는 벽장 속 누군가와 얘기를 하며 소련 노래를 부르고 엄마는 예전에 들었던 노래라며 옛날을 회상한다. 때는 일제강점기, 아무것도 모르는 14살 소녀는 16살 소년과 징집을 피해 결혼하고 해방 후 지식인이었던 남편은 빨갱이로 몰려 국군에 쫓기는 신세가 된다. 극심한 이념전쟁 속 남편은 겨우 전쟁에서
“춥다, 뼈가 시리게 춥구나. 어둡다, 먹물처럼 깊은 밤이다” 불멸의 극작가 셰익스피어의 작품 ‘햄릿’이 관객을 만나고 있다. 사랑과 행복, 욕망과 배신, 시기와 질투 등 인간 감정의 원형을 아우르며 삶과 죽음, 인생을 고찰하게 하는 고전은 시대를 뛰어넘 감동을 전한다. 유려한 소네트(Sonnet)와 극적인 무대요소는 연극에 빠져들게 한다. 13일 서울 홍익대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린 연극 ‘햄릿’ 프레스콜에서 손진책 연출은 “연극의 구조는 배우 4명이 이승에서 배를 타고 죽음의 강을 건너가 죽은 병사들이 있는 곳에서 햄릿을 만난 후, 다시 배를 타고 이승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어보자는 데 초점을 뒀다”고 소개했다. 이어 “연극이라는 것은 하면 할수록 두렵고 때로는 거의 공포를 느끼기도 하며 항상 만들면서 완성도를 향해서 다가가면 지평선 위에 점이 있듯 자꾸만 멀어진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성도를 향해서 계속 나가보는 게 창작의 세계고 연기라고 생각하고 배우들이 연기로 발전하고 관객분들이 만족하고 돌아가셨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햄릿’은 영국 극작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다. 덴마크의 왕자 햄릿이 자신의 아버지를 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