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개혁을 둘러싸고 벌어진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과 대립을 풍자, ‘목 잘린 윤석열’과 ‘목을 다시 붙인 윤석열’ 등 만평으로 연일 화제의 중심에 있는, 경기신문 시사만화가 박재동 화백은 자신을 향한 모든 논란과 공격에 대해 '전혀 위축될 필요가 없다'고 일축했다. 5일 인사동 스튜디오에서 기자와 만난 박 화백은 "지인과 통화하면서 내가 경기신문에 연재를 하게 됐어, 그러니까 대뜸 '알고 있어, 목 잘린거' 그러더라. 이게 엄청 시끄럽긴 한가보다"라며, "나는 그냥 해직을 그렇게 표현한 건데. 옛날에도 여러 명 그렸고, 앞으로도 해직을 표현할 때 목 없는 것들이 등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공인이고, 국민의 세금으로 유지되는 권력의 자리에 있으면 당연히 비판과 견제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아주 우스꽝스럽게 그렸어도 그것을 인격 모독이라 할 수 없다는 게 그의 소신이다. 그는 "어마어마한 권력자의 해직을 두고 '목이 날라갔다'를 그림으로 그린 건데, 그럼 '그 사람 목이 날라갔어'라는 말은 글로도 못쓰겠네?"라고 반문했다. 이어 마치 자기 목이 잘린 것처럼 광분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지적하며, "그저 사회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재밌게
경기신문 시사만화가 박재동 화백은 만평에 대한 표현의 자유와 관련, 무한정일 수는 없겠지만 사실을 근거로 해 권력을 비판하고 견제하는 풍자 기능이 제한돼선 안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것이 시대의 어떤 상황을 담아내는데 유용해야지, 아주 악날하거나 인격 모독적인 방법으로 또는 사실 무근의 내용으로 상처를 주거나 인권 침해를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잘못한 일이 있을 때는 사과를 하는 것이 마땅한 도리라는 박 화백이다. "예전에 이것은 정말 사과드립니다 한 게 있어요. 뭐냐면 '삼천포로 빠졌네'란 말을 인용해서 뭔가 잘못 꼬여가는 상황을 두고 여기가 삼천포네 그랬는데, 지역 주민들이 항의를 한겁니다. 물론 법적으로 문제가 되는 건 아니었지만, 시민들은 상처받을 수 있겠다 싶어서 사과한 거죠. 윤석열 총장 잘리고 이런 문제와는 다른 차원인 것이죠." 경기신문에서 처음 '박재동의 손바닥 아트' 제의를 받았을 땐 무척이나 많은 고민을 했다고 한다. 연재라는 게 엄청난 책임감이 따르기도 하지만 시사만화에서 손을 뗀지도 적지 않은 시간이 흐른 까닭이다. 박 화백은 "무조건 정치적인 이슈를 다루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가볍게 생활 카툰 비슷하게 하려고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