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을 앞둔 특성화고 학생들이 코로나19의 여파로 악화된 취업난 타계를 위해 정부 지원책 마련과 고졸을 차별하는 사회적 인식 개선을 촉구했다. 특성화고등학생권리연합회와 고졸취업확대운동본부는 8일 용산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취업하려는 학생들이 '스무살 실업자'가 될 상황에 놓였다"며 "코로나19 영향이 더 가혹하게 미치는 고졸 청년에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내년 초 졸업하는 학생이 8만명"이라며 "취업 때까지 최장 1년 동안 고졸취업급여를 지급해야 한다"고 했다. 또 현장실습비와 취업지원비 등으로 사용되는 고졸 취업활성화지원금 제도를 신설하고, 지역별 취업지원센터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회견에 참석한 학생들은 "공무원·공공기관 고졸 채용이 늘고 있지만, 대기업은 여전히 넘보기 어려운 벽"이라며 "양질의 고졸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는 일인 만큼 채용 학력기준을 낮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매향여자정보고의 한 2학년 학생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취업률은 코로나19 이전부터 낮아지고 있었다"며 "취업이 되지 않아 반강제적으로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이 많이 느는 문제는 심각한 화두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유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원장 정정옥)이 경기도내 미취업 청년여성의 구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연령대별 특성과 수요에 맞춘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내놨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은 도 청년여성 미취업자의 규모와 특성을 분석하고 지원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안 보고서 ‘경기도 청년여성 미취업자 규모추정 및 현황 분석’을 발간했다. 앞서 5월 발간된 보고서는 ▲제1장 서론 ▲제2장 청년고용 현황 및 법제도 ▲제3장 경기도 청년여성 미취업자 현황 제4장 결론으로 구성됐으며, 연령대별 성별 고용률 및 청년 미취업자 규모 및 특성을 담고 있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으로 19~34세 도 청년여성인구 1,313,000명 가운데 취업자는 771,000명, 미취업자는 543,000명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는 실업자, 잠재취업가능자, 잠재구직자, 비경제활동 인구를 포함한다. 도 청년(19~34세) 실업자는 154,000명이며, 이중 여성이 68,000명으로 전체의 44.1%를 차지했다. 청년여성 실업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19~24세가 29,000명(42.8%), 25~29세가 30,000명(43.7%), 30~34세가 9,000명(13.5%)으로 남성 실업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