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두 달 연속 건설공사비지수가 하락하며 자재 가격 안정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지만, 건설업계는 인건비 부담으로 여전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과 각종 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중소 건설사를 중심으로 경영난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5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31.01포인트(p)로 전월 대비 0.04% 하락하며 2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폭도 줄어들면서 자재 가격 안정화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하지만 자재 원가가 다소 안정되더라도, 인건비·물류비·금융비용 등 기타 비용이 여전히 상승하며 건설사들의 원가 부담은 줄지 않고 있다. 실제로 지난 3월 공시된 2024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대건설(100.7%), 포스코이앤씨(94.2%), 롯데건설(93.5%), 대우건설(91.2%) 등 주요 건설사들의 매출원가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내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 320원으로 2.9% 인상됨에 따라 인건비 부담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이는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인상률임에도 불구하고, 숙련 노동자 감소와 고령화, 주 52시간제, 중대재해처벌법 등 규제 강화가 맞물려 실제 인건비 상승 압력은 더욱 크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건설직종 평균 일급은 27만 4286원으로 최저임금을 크게 웃돌고 있으며, 숙련 기능인의 경우 하루 30만 원 이상 받는 사례도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은 세대는 여전히 건설업을 ‘3D 업종’으로 인식해 구인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한 현장 소장은 “명목상 최저임금 인상률은 낮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숙련공을 구하기 위해 훨씬 높은 임금을 주고도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업계는 내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공공·민간 발주 사업의 예산 조정과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의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되며, “인건비와 공사비 균형 붕괴 시 중소 건설사 도산 위험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재값 상승폭은 둔화됐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이전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인건비, 레미콘 비용, 운송비 등 원가 부담이 만만치 않은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