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시즌을 끝으로 코트를 떠나는 '배구 여제' 김연경(인천 흥국생명)이 만장일치로 프로배구 여자부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를 수상했다. 김연경은 14일 서울시 서대문구 스위스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도드람 2024~2025 V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31표를 모두 얻으며 MVP에 올랐다. V리그에서 만장일치 정규리그 MVP가 나온 건 이번이 세 번째다. 2018~2019시즌에는 이재영(당시 흥국생명), 2022~2023시즌에는 김연경이 만장일치 MVP로 선정된 바 있다. 이로써 김연경은 역대 최초로 두 차례 만장일치 MVP 수상 기록을 세웠다. 김연경은 지난 시즌 정규리그에서 퀵오픈 성공률 1위(54.47%), 공격 성공률 2위(46.03%), 후위 공격 성공률 3위(43.97%), 오픈 공격 성공률 5위(36.43%), 최다 득점 7위(585점), 서브 8위(세트당 0.23개)를 기록했다. 김연경을 앞세운 흥국생명은 정규리그 1위를 차지했고, 챔피언결정전에서도 대전 정관장과 5차전 혈투 끝에 승리했다. 남자부에서는 천안 현대캐피탈을 통합우승으로 이끈 허수봉이 기자단 투표 31표 중 13표를 얻어 MVP 트로피의 주인이 됐다. 이밖에 남녀부 영플레이어상은
프로배구 여자부 인천 흥국생명이 각종 역경을 딛고 6년 만에 통합우승이자 통산 5번째 챔피언에 등극했다. 흥국생명은 8일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벌어진 도드람 2024~2025 V리그 챔피언결정전(5전 3선승제) 5차전서 대전 정관장과 풀세트 혈투 끝에 세트 점수 3-2(26-24 26-24 24-26 23-25 15-13)로 이겼다. 흥국생명은 챔프 5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시리즈 전적 3승 2패를 거둬 우승 트로피를 번쩍 들어 올렸다. 2018~2019시즌 통합우승 이후 6년 만에 정상이다.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여제' 김연경도 자신의 선수 생활 마침표를 우승으로 찍으며 활짝 웃었다. 자신의 커리어 마지막 경기서 올 시즌 최다인 34점을 뽑으며 흥국생명의 우승에 앞장 선 김연경은 기자단 투표에서 31표를 모두 받으며 챔프전 MVP에 선정됐다. 역대 두 번째 만장일치 챔프전 MVP다. 흥국생명이 올 시즌 통합우승 달성하기까지의 여정은 순탄치 않았다. 흥국생명은 2020~2021시즌 김연경이 합류하면서 막강한 전력을 갖췄고, 유력한 우승후보로 꼽혔다. 그러나 팀 주축 멤버인 이재영, 이다영 '쌍둥이 자매'의 학교 폭력 의혹이 터졌다. 결국 '무기
프로배구 여자부 인천 흥국생명이 안방에서 6년 만에 통합우승(정규리그 1위·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일궜다. 흥국생명은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도드람 2024~2025 V리그 챔피언결정 5차전(5판 3선승제) 대전 정관장과 홈경기서 풀세트 접전 끝에 3-2(26-24 26-24 24-26 23-25 15-13)로 이겼다. 이로써 흥국생명은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우승 트로피의 주인이 됐다. 흥국생명의 통산 5번째(2005~2006, 2006~2007, 2008~2009, 2018~2019) 우승이다. 통합우승은 4번째(2005~2006, 2006~2007, 2018~2019, 2024~2025)다. 올 시즌이 끝나고 은퇴하는 김연경은 16년 만에 우승 트로피를 들고 선수 생활의 피날레를 화려하게 장식했다. 또 김연경은 기자단 투표에서 31표를 모두 받으며 역대 두 번째로 만장일치 챔프전 MVP에 선정됐다. 이날 김연경은 올 시즌 자신의 최다 득점인 34점(종전 32점)을 뽑아내며 흥국생명의 우승에 앞장섰다. 투트쿠 부르주(등록명 투트쿠)는 26점을 올리며 힘을 보탰다. 정관장 메가왓티 퍼티위(등록명 메가)는 양 팀 최다인 37점을 기록했으나 승부를
프로배구 여자부 인천 흥국생명이 안방에서 우승 트로피를 거머쥘 수 있을까? 흥국생명은 8일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리는 도드람 2024~2025 V리그 챔피언결정전(5전 3선승제) 5차전에서 우승 트로피를 놓고 대전 정관장과 최후의 승부를 펼친다. 흥국생명은 1차전서 정관장을 3-0으로 완파하며 기선을 잡았고, 2차전에서는 3-2 승리를 거둬 통합우승에 한 걸음을 남겨뒀다. 그러나 3, 4차전을 내리 2-3으로 패하며 2승 2패로 시리즈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제 양 팀의 승부는 8일 인천에서 가려진다. 흥국생명은 2018~2019시즌 이후 6년 만이자 통산 5번째 우승에 도전하고, 정관장은 2011~2012시즌 이후 13년 만에 4번째 우승에 도전한다. 5차전이 인천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흥국생명에게 유리할 것 같지만, 시리즈 흐름은 3, 4차전을 내리 따낸 정관장에게 넘어가 있는 상황이다. 기세가 오른 정관장을 상대하는 흥국생명에게는 부담감을 얼마나 떨쳐내는가가 승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흥국생명은 2022~2023시즌 챔프전서 김천 한국도로공사를 상대로 역스윕 패배를 당한 기억이 있다. 당시 1, 2차전을 이기고도 3~5차전을 패해 여자부 챔프전 역사상
지난 시즌 프로배구 여자부 수원 현대건설의 통합 우승에 앞장선 양효진이 2년 연속 연봉퀸에 오르지 못했다. 한국배구연맹은 지난 1일 홈페이지를 통해 2024~2025시즌 프로배구 남녀부 14개 구단의 선수등록을 공시했다고 2일 밝혔다. 연맹이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2023~2024시즌 통합우승을 차지하며 4시즌 연속 챔피언에 오른 인천 대한항공의 세터 한선수가 연봉 7억 5000만원에 옵션 3억 3000만원을 더한 10억 8000만원에 계약해 4시즌 연속 연봉킹에 등극했다. 남자부는 한선수에 이어 대한항공 공격수 정지석(총액 9억2천만원, 연봉 7억원, 옵션 2억2천만원), 안산 OK금융그룹 세터 이민규(총액 9억800만원, 연봉 8억원, 옵션 1억800만원), 천안 현대캐피탈 아웃사이드히터 허수봉(총액 8억원, 연봉 8억원), 수원 한국전력 미들블로커 신영석(총액 7억7천700만원, 연봉 6억원, 옵션 1억7천7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여자부에서는 한국 여자배구의 간판 김연경(인천 흥국생명)과 강소휘(김천 한국도로공사)가 나란히 연봉 5억원, 옵션 3억원, 총 8억원을 받아 공동 1위에 올랐다. 김연경은 3시즌 연속 여자부 최고 보수 선수가 됐다.
프로배구 남자부 안산 OK금융그룹을 챔피언결정전으로 이끈 레오나르도 레이바 마르티네즈(등록명 레오)가 9년 만에 정규리그 최우수선수에 올랐다. 레오는 8일 서울시 서초구 더케이호텔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도드람 2023~2024 V리그 시상식에서 기자단 투표 31표 중 15표를 받아 임동혁(인천 대한항공·12표)을 3표 차로 제치고 MVP에 선정됐다. 이로써 레오는 대전 삼성화재에서 뛰던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시즌 연속 MVP를 차지한 뒤 9년 만에 4번째 수상이자 남자부 최다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15년 이후 터키, 중국, 아랍에미리트 리그에서 뛴 레오는 2021~2022시즌 V리그에 복귀해 OK금융그룹 유니폼을 입고 있다. V리그 복귀 3시즌 차인 레오는 올 시즌 득점 2위(955점), 공격 성공률 2위(54.54%), 서브 2위(세트당 0.489개), 오픈 성공률 1위(50.36%)를 기록했다. 레오를 앞세운 OK금융그룹은 정규리그를 3위로 마치고 8년 만에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다. 여자부에서는 ‘배구 여제’ 김연경(인천 흥국생명)이 31표 중 20표를 받아 13년 만에 수원 현대건설의 통합우승(정규리그 1위·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이끈 양
아주대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정경욱·이수영 교수가 소아 식품알레르기의 자연 경과에 관한 최근 20년 동안 발표된 논문 70여 건 이상을 리뷰해 소아 식품알레르기의 자연 경과에 대한 지견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소아에서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아나필락시스의 유병률은 증가 추세이며, 국가별 IgE 매개 영유아·소아 식품알레르기의 유병률은 호주 영유아 10%, 미국 소아 7.6%, 한국 영유아 5.3% 등이다. 연구팀의 이전 발표에선 국내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식품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식품 1~5위는 계란, 우유, 밀, 호두, 땅콩 순이었으며 성인 식품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식품 1~5위는 갑각류, 밀, 생선, 돼지고기, 어패류 순이다. 이번 연구에서 계란·우유·밀·대두에 의한 알레르기는 학동기 전, 즉 초등학교 입학 전 호전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땅콩·견과류·해산물 등에 의한 알레르기는 지속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식품알레르기의 자연 경과는 원인 식품 혹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과거 섭취 시 증상 중증도 ▲진단 연령 ▲동반 알레르기 질환·가족력 ▲피부반응검사 결과 ▲식품 특이 IgE 결과값
프로배구 남자부 수원 한국전력의 아웃사이드 히터 임성진(24)이 도드람 2023~2024 V리그 2라운드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됐다. 여자부 MVP에는 인천 흥국생명의 에이스 김연경(35)이 뽑혔다. 한국배구연맹은 2일 “임성진이 남자부 기자단 투표에서 31표 중 11표를 얻어 6표에 그친 대전 삼성화재 요스바니 에르난데스(등록명 요스바니)를 제치고 MVP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임성진은 2라운드에서 공격 성공률 61.6%를 기록해 공격 종합 1위에 올랐다. 한국전력은 임성진의 활약 속에 2라운드 5연승을 거두는 등 5승 1패로 라운드를 마쳤다. 임성진이 라운드 MVP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자부에서는 31표 중 11표를 받은 김연경이 수원 현대건설 모마 바소코 레티치아(등록명 모마)와 GS칼텍스 지젤 실바(등록명 실바·이상 8표)를 따돌리고 MVP에 올랐다. 김연경은 2라운드에서 득점 8위(135점·국내 선수 1위), 공격 성공률 7위(41.03%·국내 선수 1위), 서브 6위(세트당 평균 0.2개)를 기록하며 흥국생명의 전승을 이끌었다. 김연경이 라운드 MVP에 오른 건 개인 통산 7번째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프로배구 여자부 수원 현대건설이 ‘배구여재’ 김연경을 품을 수 있을까. 프로 데뷔 17년 만에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은 김연경은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서울 호텔에서 열린 프로배구 2022~2023시즌 시상식을 마친 뒤 현역 연장과 관련해 “조금 더 하려고 한다. 소속 팀과 협상 중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통합 우승을 못했다. 굉장히 간절하다. 정규시즌 1위를 하고 통합 우승을 놓쳐서 그런지 통합 우승에 관한 갈망이 커졌다”며 계약의 기준이 통합 우승이라고 밝혔다. 각 팀의 전력 보강 추이와 팀의 비전도 고려해야 한다는 김연경은 “프로배구엔 샐러리캡(급여 총액 상한)이 있어서 제약이 많다. 이 때문에 고려해야 할 부분도 많다”면서도 “계약 조건을 낮추더라도 우승할 수 있는 전력의 팀이라면 가능하다”고 전했다. 김연경이 언급한 ‘우승할 수 있는 전력의 팀’은 통합 우승을 달성한 김천 한국도로공사, 인천 흥국생명, 현대건설 세 팀이 유력하다. 황연주, 황민경, 김연견, 정시영이 자유게약선수(FA) 자격을 얻은 현대건설은 지난 시즌 개막부터 정규리그 1위를 유지하다 시즌 막판 주전선수들의 부상으로 우승 문턱을 넘지 못했다. 현대건설은 아웃
2022~2023시즌 프로배구 남녀부 관중 동원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배구연맹(KOVO)이 13일 지난 시즌 시청률·관중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8~2019시즌과 비교해 남자부 관중 수는 크게 줄은 반면 여자부 관중 수는 40% 가까이 늘어났다. 남자부 관중은 2018~2019시즌 32만4천682명에서 2022~2023시즌 21만4천178명으로 34%나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여자부 관중은 25만1천64명에서 34만7천267명으로 38%나 증가했다. 남자부 평균 관중 수는 1천610명, 여자부는 2천611명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결과는 ‘배구여제’ 김연경의 영향 덕분이다. 배구연맹의 최근 5년 치 관중 자료를 보면, 여자부 관중 수는 남자부 관중 수를 밑돌다가 김연경이 국외 생활을 마치고 복귀한 2020~2021시즌부터 역전했다. 여자배구대표팀의 도쿄올림픽 4강 진출의 후광이 프로배구에도 영향을 끼쳐 김연경이 잠시 국외로 떠난 2021~2022시즌에도 여자부 관중 수가 남자부보다 5만7천명 이상 많았고, 김연경이 완전히 귀국한 이번 시즌에는 여자부 관중 수가 무려 13만명 이상 남자부를 웃돌았다. 이처럼 여자배구의 인기가 높은 것은 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