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은 실학 대중화 및 실학 진흥을 위한 학술 사업의 일환으로 실학고전총서 ‘실학, 고전으로 만나다’ 시리즈 제1집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출간했다. 실학박물관은 2009년 개관 이래 15년 동안 실학인물총서, 실학교양총서, 실학연구총서 등 실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학계의 저명한 연구자들과 함께 여러 기획도서 시리즈를 발간해왔다. 이번 실학고전총서 시리즈 ‘실학, 고전으로 만나다’는 실학 고전에 수록된 재미있는 글들을 엄선, 현대어로 번역하는 시리즈로, 실학 스토리텔링을 위한 원천자료를 확보하고, 대중들이 실학을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이 되는 ‘실학 고전’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시리즈 중 첫 번째 도서는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다. 저자인 연암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 18세기를 대표하는 북학(北學)파 실학자로 1780년(정조 4) 건륭제의 70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사절로 청나라에 다녀오며 ‘열하일기’를 지었다. ‘열하일기’엔 청나라의 발전된 모습과 조선이 나아가야 할 방향, 당시 사회상 등이 담겨있다. 당시 조선 사대부의 허례허식을 풍자하는 단편소설 ‘허생전’, ‘호질’ 등도 ‘열하일기’에 수록돼 있다. ‘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은 오는 8일 오후 1시, 단국대학교 국제관에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실학학회와 공동으로 ‘연암 박지원 가(家) 소장 필사본의 가치와 위상’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 필사본은 조선시대 실학자 연암 박지원(1737~1805)의 집안에 소장돼 전해진 것으로 박지원이 생전에 직접 작성한 원고와 사후 그의 아들 박종채와 손자인 박규수, 박선수가 정리한 것을 말한다. 이들 필사본은 박지원의 저작이 처음 탄생한 이후 수정되고 정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별한 가치가 있다. 연암 박지원의 저작은 그의 생전에 간행되지 못하고, ‘필사본’ 형태로만 유통되다가 1932년에서야 박영철에 의해 연활자본 형태의 ‘연암집(燕巖集)’이 간행됐다. 박영철본이 간행되기 전에 이미 김택영에 의해 ‘연암집’(1900년, 전사자본), ‘연암속집’(1901년, 전사자본), ‘중편연암집(1916년, 신활자본) 등이 간행됐으나, 이는 연암이 남긴 저작의 일부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130여 년의 공백 동안 ’필사‘의 형태로만 전승됐다. 이 가운데 자료적 가치가 우수한 것들이 실학박물관과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연민문고에 다수 소장돼 있다.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은 실학자들의 업적과 사상을 감상하고 체험하는 이동전시 ‘실학자가 간다’를 남양주시 지역 2개 학교에 설치·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실학자가 간다’는 박물관을 찾기 어려운 경기지역 학교들을 위한 찾아가는 이동전시로, 다양한 교육과 체험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실학자가 간다’에서는 새롭게 리뉴얼한 ‘다산 정약용’과 ‘연암 박지원’이 운영된다. 남양주시 다산가람초등학교에서는 ‘다산 정약용’을 리뉴얼해 선보일 예정이다. 다산가람초등학교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이동전시를 운영했는데, 이번엔 전시유물을 다산의 친필 ‘하피첩(복사본)’으로 바꿔 설치하게 됐다. 또 다산한강중학교에선 2021년~2022년 이동전시 ‘담헌 홍대용’을 운영한 데 이어 올해부터 ‘연암 박지원’을 주제로 새롭게 이동전시를 운영한다. 전시는 ▲실학자들의 생과 업적에 관한 글 ▲미디어 영상으로 실학자 관련 애니메이션 ▲타블렛을 이용한 실학 퀴즈 풀기 ▲그림 퍼즐 맞추기 등 총 4개의 체험 콘텐츠로 구성됐다. 한편, 실학박물관은 학생들이 손쉽게 실학자들을 접할 수 있도록 2020년 이래 4년째 찾아가는 이동전시 ‘실학자가 간다’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