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뮤지컬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 ‘2023년 총결산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한민국 뮤지컬 시장은 약 4591억원으로 성장한데 이어 올해도 열기를 그대로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까지 뮤지컬 시장의 티켓판매액은 2200억원으로 지난해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완성도 높은 다양한 소재의 창작뮤지컬들과 이미 검증된 유명 작품들이 연이어 쏟아지면서 뮤지컬시장은 그야말로 호황을 맞고 있다. 특히 10주년을 맞은 공연들이 저마다의 매력으로 관람객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 6월 5일 개막한 창작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은 올해 다섯 번째 시즌을 이어가고 있다. 2014년 초연해 제8회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9개 부문을 수상했다. 개막 10주 만에 매출액 100억 원을 돌파하며 단일 시즌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프랑켄슈타인'은 1818년 출간된 메리 셸리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신이 되려 했던 인간과 인간을 동경했던 피조물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이기심과 생명의 본질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출연 배우들 모두 1인 2역을 맡은 것이 특징이다. 9월 7일 개막하는
극영화는 서사와 스펙터클로 승부를 한다. 이에 비해 뮤지컬 영화는 코러스로 승부수를 가져가려 한다. 솔로도 아니다. 뮤지컬 영화에서 가슴이 뭉클해질 때는 집단의 코러스가 나올 때이다. 2012년 겨울에 개봉돼 해외보다 국내에서 보다 큰 인기를 모았던 영화 ‘레 미제라블’이 그랬다. ‘레 미제라블’의 마지막 장면을 생각하면 된다. 장발장의 딸 코제트(아만다 사이프리드), 그리고 그녀와 사랑에 빠진 주인공 마리우스(에디 매드레인), 머리를 박박 민 판틴(앤 해서웨이) 등과 일군의 시위대들은 파리에서 바리케이드를 치고 최후의 저항을 시도한다. 그들은 결연하게 함께 소리를 외쳐 노래를 부른다. 영화에는 안 나오지만 아마도 이들은 이후 옥쇄(玉碎)를 했을 것이다. 그 느낌과 오라(aura)를 보여주는 마지막 코러스는 실로 사람들의 가슴을 친다. 윤제균의 신작 ‘영웅’도 그렇다. 언뜻 안중근 의사가 1909년 하얼빈에서 조선의 초대 통감으로 한일 합방을 주도했던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 총리(김승락)를 암살하는 장면을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로 생각하기 쉽다. 근데 그렇지가 않다. 그것도 전혀 아니다. 그리고 그렇지 않아서 훨씬 영화가 살았다. 영화의 여운이 오래간다. 그리고
수원남부경찰서(서장 오문교)가 지인과 말다툼을 한 후 신변을 비관하며 4층 건물 옥상 난간에서 뛰어 내리려고 한 여성을 구조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지난 7일 오전 5시 40분쯤 한 행인이 인계동 유흥가 취약지역을 순찰중이던 112순찰차를 급하게 불러 세웠다. 급한 일이 발생했음을 직감한 인계파출소 박종찬 경장과 이준표 순경이 신속히 순찰차에서 내린 순간, 행인은 다급한 목소리로 “저기 옥상 난간에 사람이 앉아 있다”고 소리쳤다. 박 경장과 이 순경은 옥상으로 뛰어 올라가서 20대 여성이 난간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난간 끝을 잡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즉시 119에 출동 요청했다. 하지만 여성이 뛰어내리려는 듯 하체를 난간 끝으로 이동시키고 있어 이들은 추가 안전조치를 기다릴 여유가 없다고 판단, 요구조자가 한눈을 파는 사이 재빠르게 달려가 몸을 끌어당겨 소중한 생명을 구했다. 이날 투신을 시도한 김모(24)양은 친구와 다툰 후 충동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소중한 생명을 구한 박종찬 경장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은 행동하기 전 누군가에게는 도움을 요청한다”며 “따뜻한 말 한마디, 따뜻한 손길 하나가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 앞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