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경기도종합체육대회의 마지막 대회이자 ‘경기도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잔치’인 ‘제33회 경기도생활체육대축전 2022 용인’이 28일 용인특례시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개회식을 시작으로 4일간의 열전에 들어갔다. 이날 ‘새바람 용인이 분다-중심울림’을 주제로 열린 개회식에는 대회장인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이영봉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윤원균 용인특례시의회의장, 이원성 경기도체육회장, 조효상 용인특례시체육회장 등 내빈과 31개 시·군 선수단 등 15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개회식은 선수단이 각종 프래카드와 오색 풍선 등을 들고 입장했던 기존 방식과 달리 대축전 사상 최초로 31개 시·군 선수단이 그라운드에 마련된 테이블에 앉아 있고 기수단만 입장하는 환영회(리셉션) 형식으로 진행됐다. 용인시 홍보영상과 용인대 학생들의 태권도 퍼포먼스 등 식전행사에 이어 차기 대축전 개최지인 고양시를 시작으로 하남시, 수원시 등의 순으로 시·군 기가 입장했고 맨 마지막에 개최지인 용인시 기가 모습을 보였다. 국민의례에 이어 조효상 용인시체육회장의 개회선언과 대회기가 게양됐고 이상일 용인시장의 환영사, 김동연 도지사의 대회사, 이영봉 도의회
전국에서 관심을 갖고 유치 경쟁을 벌여온 이른바 ‘이건희 미술관’ 건립 후보지가 서울 용산과 송현동 2곳으로 압축됐다. 유치전에 나섰던 경기도 지자체들은 이와 같은 문화체육관광부의 결정에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 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을 위한 기본원칙 및 활용 기본방향’ 브리핑을 열고, 고(故)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 2만3000여 점을 통합·소장할 별도의 기증관을 건립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황희 장관은 “기증품을 통합적으로 소장·관리하면서, 분야와 시대를 넘나드는 조사·연구·전시·교류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증관이 필요하다”고 이유를 밝혔다. 이와 같은 발표에 고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의 인연과 국민 문화향유를 이유로 유치 경쟁을 펼쳤던 전국 지자체들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특히 경기도는 기초지자체 간 경쟁이 가장 치열했던 만큼 도내 지자체들도 아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기도는 물론 수원과 용인·평택·오산·과천·의정부 등에서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문체부에 건의한 바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이날 공식 SNS를 통해 “‘이건희 소장품 기증관’ 후보지가 서울 지역으로 결정됐다. 수원시
용인시가 5일 수원시 노보텔엠배서더에서 열린 경기도체육회의 제34차 이사회에서 ‘2022년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개최지로 선정됐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