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립공연단은 제24회 정기공연으로 마상무예 ’선기대(善騎隊), 화성을 달리다’를 오는 10월 19일 오후 3시 화성행궁 우화관 앞마당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수원시립공연단과 무예공연예술단 ‘지무단’이 협력한다. ‘지무단’은 한국 전통 무예와 춤을 기반으로 ‘무예 검무’라는 독특한 장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는 무예공연 예술단체다. ‘선기대(善騎隊)’란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창설한 친위군영인 ‘장용영’의 기병 부대를 뜻한다. 이번 공연에선 정조가 편찬한 ‘무예도보통지’에 나오는 지상무예18기와 마상무예6기를 온전히 재연한다. 관람객은 전투마와 함께하는 다양한 마상무예를 직접 감상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무예24기시범 상설공연과 차별화된 마상기창, 마상편곤, 마상쌍검, 마상월도의 격파 및 베기훈련 등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마상 퍼포먼스를 관람할 수 있다. 매년 창룡문 앞 잔디밭에서 시연하던 마상무예 공연은 올해는 화성행궁 훼손 119년, 복원사업 착수35년 만에 원래의 모습을 되찾은 화성행궁 우화관 앞마당에서 새롭게 펼쳐진다. ‘선기대(善騎隊), 화성을 달리다’는 우천 시 취소될 수 있으며 자세한 문의는 수원시립공연단으로 하면 된다. [ 경기신문 =
수원문화재단은 오는 10월까지 화성행궁 관람과 정조테마공연장의 공연을 결합한 문화유산 특별관람 프로그램 ‘풍류산책’을 진행한다. 프로그램 1부에서는 문화유산과 건축분야 전문가인 해설사로부터 화성행궁과 우화관, 별주의 역사와 건축 과정을 1시간 가량 들을 수 있고, 2부에서는 정조테마공연장의 마당에서 재즈나 전통퓨전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풍류산책’은 10월까지 매월 2째 주와 4째 주 토요일 16시부터 17시 30분까지 90분간 진행될 예정이며, 매회 50명을 사전예약을 통해 무료로 모집한다. 예약을 하지 않더라도 날짜와 시간에 맞게 방문하면 프로그램에 일부 참여할 수 있다. 7, 8월에는 월 1회 야간에도 진행될 예정이다. 수원문화재단 관계자는 “문화유산을 전문해설과 함께 공연까지 즐길 수 있는 특별관람 프로그램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신청하여 즐길 수 있었으면 한다”라고 밝혔다. 행사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수원문화재단 문화유산부(031-290-3575)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1789년(정조 13) 옛 수원부 읍치에 현륭원을 조성하면서 임금이 행차 시 유숙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화성행궁이다. 그러나 1911년 봉수당에 자혜의원이 들어서면서 점차 일제의 신문명을 선전하는 의료시설로 바뀌었다. 1933년에는 행궁을 허물고 그 자리에 경기도립병원 신축건물이 들어섰다. 1994년, 수원시는 민족문화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수원화성 세계유산 등재추진과 함께 화성행궁 1단계 복원사업을 시작했다. 1995년에 중심건물인 봉수당과 장락당을 발굴조사하고, 1996년 당시 화성행궁 복원공사 기공식이 이뤄졌다. 2001년에 화성행궁의 5차 발굴조사를 끝내고, 1년 뒤인 2002년 1단계 복원공사가 마무리됐으며 2003년 10월에 주변 정비까지 마친 후 일반 시민에게 모습을 보여줬다. ‘화성성역의궤’ 기록에 따르면 화성행궁은 총 576칸으로 구성돼 있으나 1단계 복원사업을 통해 482칸만 복원됐다. 그 이유는 ‘우화관(于華館)’이라는 화성행궁 객사가 위치한 복원 예정 부지에 신풍초등학교가 있었기 때문이다. 우화관은 1905년쯤 수원 최초의 근대학교인 수원군공립소학교가 옮겨오면서 학교로 쓰이게 됐다. 수원시가 화성행궁 1단계 개관 이후 신풍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