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작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더해 각 기업이 채용규모를 축소하거나 대외비로 공고하는 경우가 잇따르자 취업준비생들이 패닉에 빠지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취준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이들에겐 크게 와닿지 않는 모양새다. 27일 통계청 따르면 코로나19 영향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 3월 취업자 수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9만5000명 줄어든 이후 4월(-47만6000명), 5월(-39만2000명), 6월(-35만2000명), 7월(-27만7000명), 8월(-27만4000명)까지 6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다. 이에 삼성과 SK 등 주요 대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실적 부진에도 최대한 예년 수준의 채용 규모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한 번에 수천 명씩 채용하던 공채를 폐지한 기업이 늘고 있는 데다가 그나마 공채를 실시하는 기업도 채용 규모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 신입 채용은 예년보다 줄 것으로 전망된다. 다수의 취업준비생이 선호하는 금융권 역시 비슷한 상황이라 취업처를 찾는 것은 '모래사장에서 바늘 찾기'가 됐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자 취업준비생들은 의지와는 달리 취업을 못
고양시 ‘더 잡(job) 고양 일자리 발굴단’에 참여 중인 프로시니어들이 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화상면접 등을 통한 소규모 일자리 매칭에 효과를 거두고 있다. 고양시 일자리센터 사업 중 하나인 ‘더 잡 고양 일자리 발굴단’은 고양시는 물론 파주, 김포 등 인근 도시의 우수기업과 구인기업을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발굴‧관리해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희망-내일 일자리 사업에 참여 중인 일자리 서포터즈들은 ▲일자리 발굴 및 매칭 업무 지원 ▲채용 행사 및 현장 면접 ▲동행 면접 지원 ▲기업 컨설팅 데이 등의 업무를 통해 구직자들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희망-내일 사업에 프로시니어 일자리지원 상담사로 참여 중인 S(59)씨는 금융 대기업 등 전산실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전산분야 전문가로, 개인 사업을 하다 은퇴하고 지난해부터 일자리센터에서 서포터즈 업무를 하고 있다. 그는 본인의 전공을 살려 구인, 구직 관련 DB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취업박람회, 계층별 맞춤형 구인·구직 현장 업무 지원과 장애인, 취약 계층의 동행면접을 진행하고 있다. 그는 “인터넷 지원서 작성은 물론 자기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