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소방시설관리사 시험 제도 개편안 두고 "현장모르는 탁상행정" 지적
소방청이 소방시설관리사 시험 제도 개편 계획안을 발표하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반발이 일고 있다. 발표된 계획안에는 현재는 없는 3년의 실무 이수 기간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소방청은 지난달 3일 소방시설관리사 시험제도 개편 계획안을 발표했다. 현장 중심으로 바꾸기 위해 필기시험 합격 후 3년의 실무 기간을 둬 현장 실무를 이수하게 하고, 시험 합격 점수를 60점에서 70점으로 상향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발표한 소방시설관리사 제도 개편은 내년 법령 개정이 이뤄지면 3년의 유예기간을 둔 뒤 실행될 예정이다. 소방시설관리사는 소방시설의 점검 및 정비, 건축물 소방시설 유지관리 및 화기취급 감독, 방화 관리에 관한 사항 등 화재예방을 위한 소방시설의 점검 업무를 주로 수행한다. 시험 합격률이 낮아 수험생들 사이에서는 어려운 시험으로 통한다. 2020년 2차 시험 합격률은 2.82%로 발표됐다. 소방시설관리사 개편 제도가 실행되면 합격자들은 소방시설관리업체에 등록해 주요인력으로 현장점검에 나설 수 있다. 또 소방청은 점검경력이 있는 자들에 한해서는 1~2년의 기간을 면제하는 방안도 구상중이다. 상황이 이렇자 소방전문가들은 제도 개편의 실효성을 지적하는 한편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