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 쇼트트랙 간판 최민정(성남시청)이 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최민정은 16일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대회 여자 1500m 결승에서 2분27초136을 달리며 코트니 사로(케나다·2분27초194)와 같은 팀 후배 김길리(2분27초257)를 체지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이로써 최민정은 한국 대표팀에게 이번 대회 첫 금메달을 선사했다. 레이스 중후반 사로에게 잠시 1위 자리를 내준 최민정은 4바퀴를 남기고 스퍼트를 올려 1위를 탈환했다. 이후 마지막 마퀴를 남기고 사로와 치열한 1위 경쟁을 벌인 최민정은 간발의 차로 사로를 앞서 우승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아시아 최대 겨울 스포츠 축제' 동계아시안게임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이 일찌감치 목표치를 달성한 가운데 역대 최고 성적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은 10일 오후 4시 기준 중국 하얼빈에서 진행된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 11개, 은 10개, 동메달 9개 등 총 30개 메달을 수확하며 중국(금 21·은 18·동 15)에 이어 종합 2위에 올라 있다. 일본은 금메달 4개(은 4·동 9)를 확보해 3위에 자리했다. 한국 선수단은 지난 9일 메달 레이스 2일차 때 대한체육회가 예상한 금메달 목표 11개를 달성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앞으로 몇 개의 금메달을 더 수확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 상황이다. 한국은 2017년 일본 삿포로 대회서 역대 가장 많은 금메달 16개(은 18·동 16)를 획득했다. 한국은 이번 대회 마지막 날(14일)까지 금메달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이 남아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역대 최다 금메달 타이까지 기대하고 있다. 하얼빈서 연일 태극기를 휘날리고 있는 한국 선수단 중심에는 '체육 웅도' 경기도 소속 선수들이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선수는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 간판' 최민정(성남시청)이다. 최민정은 쇼트트
'아시아 최대 겨울 스포츠 축제' 동계아시안게임이 화려한 개회식을 갖고 8년 만에 막을 올렸다.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은 7일 중국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센터에서 열린 개회식을 시작으로 8일간 열전에 돌입했다. 이번 대회는 2017년 삿포로 대회 이후 8년 만에 열리게 됐다. 당초 2021년 열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 여파와 개최지 선정에 난항을 겪으면서 오랜 기간 열리지 못했다. 역대 동계아시안게임 중 가장 많은 34개국, 선수 1200여명이 참가하는 하얼빈 대회는 빙상, 스키, 컬링, 아이스하키, 바이애슬론, 산악스키 6개 종목의 11개 세부종목서 64개의 금메달이 걸렸다. 종합 2위를 목표로 내건 대한민국은 총 총 222명(선수 148명·경기 임원 52명·본부 임원 22명)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한국 선수단은 개회식에서 34개국 중 13번째로 입장했다. 입장 순서는 각 국가명 영어 알파벳으로 정해졌다. 기수를 맡은 남자 아이스하키의 이총민(블루밍턴 바이슨스)과 여자 컬링 김은지(경기도청)가 맨 앞에서 깃대를 맞잡고 등장했다. 북한 선수단은 5번째로
이원성 경기도체육회장이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경기도 소속 선수·임원을 격려했다. 24일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이 회장을 비롯해 여자 컬링 국가대표 경기도청 ‘5G’ 신동호 코치,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 등 40여명의 도소속 선수·임원이 참석했다. 이번 대회 바이애슬론 등 6개 종목에 79명이 출전하는 도선수단은 30여개국 1200여명의 선수단과 치열한 메달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도선수단은 지난 2017년 제8회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 7개, 은 5개 동메달 6개 등 총 18개 메달을 획득하며 국제대회서 저력을 알린 바 있다. 이 회장은 “이번 제9회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에서도 경기도 선수단의 우수한 기량을 마음껏 펼치길 바란다”며 “경기도체육회도 선수들이 좋은 환경에서 훈련, 지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9회 대회는 2월 7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2월 14일까지 8일 동안 중국 하얼빈에서 개최된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쇼트트랙 여자 대표팀 김길리(성남시청)가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길리는 14일 강원도 춘천 송암스포츠타운 빙상장에서 열린 대회 사전경기 빙상 쇼트트랙 종목 마지막 날 최민정, 김건희(이상 성남시청), 노도희(화성시청)와 팀을 이뤄 경기선발로 출전한 여자일반부 3000m 계주 결승에서 4분24초020으로 우승하는데 앞장섰다. 이로써 김길리는 1000m, 1500m 우승에 이어 대회 3관왕에 등극했다. 남자 12세 이하부 1000m, 1500m 우승자 이규민도 3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이규민은 남자 12세 이하부 2000m 계주 결승서 신윤철, 지상우, 임지우와 팀을 이뤄 2분56초038을 기록, 경기선발이 서울선발(2분57초102)과 인천선발(2분57초711)을 꺾고 우승하는데 기여하며 세 번째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또 여자 15세 이하부 1000m 챔피언 박보민(성남 서현중)은 3000m 결승에서 5분21초039를 기록하며 박가은(수원 칠보중·5분21초257), 고금비(인천 신정중·5분23초603)를 누르고 패권을 안았다. 이후 김도희, 박가은, 주시하와 함께 경기선발로 출전한 박보민은 여자 15세 이하부 3000m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이 1년 만에 다시 태극마크를 달았다. 최민정은 12일 서울시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쇼트트랙 국가대표 2차 선발대회 겸 KB금융그룹 제39회 전국남녀 종합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 마지막 날 여자부 1000m 결승에서 1분31초115로 심석희(서울시청·1분31초323)와 이유빈(고양시청·1분31초364)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날 1000m 예선 4조에서 1분32초890으로 1위에 오른 최민정은 준준결승에서도 1분32초044로 1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준결승 2조에서 1분30초844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준결승전에서 가장 좋은 기록으로 결승에 진출해 1번 레인을 배정 받은 최민정은 초반부터 1위와 2위 자리를 번갈아가며 레이스를 펼치다가 2바퀴를 남기고 심석희에게 선두를 내줬다. 그러나 최민정은 2위에서 기회를 노리다가 마지막 바퀴를 남기고 속도를 높였고 마지막 코너에서 아웃코스로 추월에 성공하며 1위로 골인했다. 1차 선발대회에서 500m와 1000m, 1500m 합계 52점을 따냈던 최민정은 2차 선발대회에서 500m와 1000m 우승에 힘입어 73점을 추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이 2024~2025 쇼트트랙 국가대표 2차 선발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최민정은 11일 서울시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KB금융그룹 제39회 전국 남녀종합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를 겸해 열린 첫 날 여자부 500m 결승에서 43초151의 기록으로 심석희(서울시청·43초3870와 노도희(화성시청·43초457)을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이날 열린 예선 1조에서 43초631로 1위를 차지해 준준결승에 진출한 최민정은 준준결승 4조에서도 43초712의 기록으로 1위에 오르며 준결승에 합류했다. 준결승 2조에서 43초503을 기록하며 1위로 결승에 안착한 최민정은 스타트 후 심석희와 서휘민(고려대)에 이어 3위로 첫 코너를 통과했지만 2바퀴를 남기고 2위로 올라섰고 마지막 코너에서 1위로 달리던 심석희를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앞서 열린 여자부 1500m 결승에서는 노도희가 2분24초329의 기록으로 김혜빈(화성시청2분24초332)과 박지윤(서울시청2분24초485)을 간발의 차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준준결승에서 3조에 속한 노도희는 3분00초586을 기록하며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노도희는 준결승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이 국가대표 1차 선발대회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최민정은 7일 서울시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쇼트트랙 국가대표 1차 선발대회 마지막 날 여자 1000m 결승에서 1분32초674의 기록으로 이소연(스포츠토토·1분33초530)과 최지현(전북도청·1분33초594)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로써 최민정은 여자 1500m 5위, 500m 3위에 이어 1000m 우승으로 랭킹포인트 52점을 얻어 심석희(71점)에 이어 종합 2위로 2차 선발전에 합류했다. 이소연이 43점으로 3위, 노도희가 26점으로 뒤를 이었다. 1년 만에 국가대표 재승선을 노리는 최민정은 이날 예선에서 3조에 속해 1분30초408로 1위에 오른 뒤 준준결승에서도 1분31초232의 기록으로 3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 1조에서 노도희(화성시청), 노아름(전북도청), 심석희(서울시청), 김지유(고양시청)와 경쟁한 최민정은 1분30초890로 1위에 오르며 결승에 안착했다. 결승에서 이소연, 최지현, 김건희(성남시청), 노도희를 만난 최민정은 시종일관 노련한 경기를 펼친 끝에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남자부에서는 국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이 국가대표 복귀를 노린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오는 5일부터 7일까지,11일부터 12일까지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2024~2025시즌 쇼트트랙 국가대표 1, 2차 선발전을 잇따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연맹은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열리는 1차 대회에서 500m와 1000m, 1500m 등 3개 종목 성적을 합산해 선수들의 순위를 매긴 뒤 남녀 상위 24위까지 2차 대회에 진출권을 준다. 11일과 12일 이틀간 진행되는 2차 대회도 500m와 1000m, 1500m를 진행하며 1, 2차 대회 점수를 합해 남녀 상위 각 8명씩 국가대표로 선발된다. 이중 국제대회 개인전 우선 출전권은 3명에게만 주어진다. 여자부에서는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트이자 쇼트트랙 월드컵 세계 챔피언인 ‘신흥 에이스’ 김길리(성남시청)가 자동으로 차기 시즌 국가대표 자격을 얻은 가운데 남은 두 장의 개인전 출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잇따라 금메달을 획득한 최민정은 2023~2024시즌 개인 훈련을 이유로 태극마크를 반납했다. 최민정은 지난 2월 열린 제105회 전국
최민정(성남시청)과 김리아(한국체대)가 제105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나란히 3관왕에 올랐다. 최민정은 3일 강원도 춘천시 춘천송암스포츠타운 빙상장에서 사전경기로 진행된 대회 빙상 쇼트트랙 여자일반부 3000m 계주 결승에서 김건희(성남시청), 김혜빈(화성시청), 이유빈(고양시청)과 팀을 꾸려 경기선발이 4분21초931로 전북도청(4분25초330)을 꺾고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이로써 최민정은 여일부 1500m와 500m 우승에 계주에서도 정상에 오르며 대회 3관왕에 등극했다. 또 김리아는 여대부에서 금메달 세 개를 목에 걸며 3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김리아는 서휘민(고려대), 이수연, 박재이(이상 용인대)로 팀을 이룬 경기선발이 여대부 3000m 계주 결승에서 4분27초416으로 서울선발(4분28초215)과 충남선발(4분39초567)을 제치고 우승하는데 앞장섰다. 앞서 여대부 1000m와 500m에서 우승했던 김리아는 3관왕에 올랐고, 여대부 1500m 우승자인 서휘민은 두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또 여자 15세 이하부 1500m 우승자 유수민(수원 이목중)은 여자 15세 이하부 3000m 계주에서 이지안(양주 덕현중), 강윤하, 김도희(이상 성남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