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역사에서 팬데믹의 위기는 유일한 것이 아닙니다. 위기는 어떠한 방법으로든 극복될 수 있습니다.” 경기아트센터가 최근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 ‘코로나19 특별 포럼’ 녹화 영상을 통해 전문가들이 공연예술계에 던지는 희망의 메시지를 들을 수 있었다. 3인의 강연자가 음악사와 의학적·심리적 방역의 측면에서 ‘안전한 공연장’에 대해 다룬 내용이 주를 이뤘다.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조은아 교수는 ‘역사적으로 전염병이 음악사에 미친 영향’을 주제로 중세 흑사병과 근대 스페인 독감에 거쳐 현대 코로나19까지 인류가 전염병으로 고통 받은 시기에 나타난 음악적 양상을 소개했다. 조 교수는 인류 역사에서 발병한 각종 전염병에 저항하며 예술가들이 보여준 다양한 시도와 그들이 남긴 놀랄 만한 결과물에 초점을 맞췄다. 각 시대의 음악가가 남긴 걸작들을 예로 들며 “작곡가들에게 봉쇄보다 더 좋은 창작 환경이 없기도 하다. 음악창작에 맞불을 놓는 시기였다”며 당시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음악적 진화가 계속 이뤄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그리고 지난 5월 밤베르크 심포니가 모자이크 앙상블 형태로 86명 단원의 연주를 영상 편집해 디지털 초연한 ‘코로나 전염병에 대한 교항악적 답변’을
팬데믹 상황 속 극장들은 살아남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 경기아트센터가 최근 공개한 ‘코로나19 특별 포럼’ 영상에서는 7명의 전문가가 각자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발제와 대담 형식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내놓았다. 포럼 영상의 주요 내용을 주제별로 나눠 정리해 보았다. ◆계획할 수 없는 시대, 극장의 레퍼토리 시즌 운영 안호상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장은 국립중앙극장장으로 있을 당시 국립극장의 시즌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레퍼토리 시즌제가 모두에게 유리한 방식은 아니다”라며 무조건적인 모방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시대적 요구에 맞는 작품과 기획 및 제작, 마케팅을 총체적으로 지휘하는 핵심 집단 등 견고한 제작 시스템이 갖춰져야 레퍼토리 시즌제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현재와 코로나 이후 공연의 변화와 관련, ‘장르 및 제작 주체별 승자 독식의 심화’, ‘시즌 기간의 축소 및 계절별 축제 중심으로의 전환’, ‘로컬 관객과 아티스트, 콘텐츠간의 밀착’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각각에 맞는 콘텐츠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부산문화예술회관 이용관 대표이사는 시즌 방식에 대해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