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영순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손은 희망과 연결, 소망을 나타낸다. 아기와 엄마가 맞잡은 손, 약속을 하며 마주 건 손, 무언가를 들어올리기 위해 오므린 손, 봉숭아 물이 들어 붉게 물든 손 등 다양한 모습은 작가가 느끼는 감정을 구상과 도상의 혼합된 형태로 드러난다. 수원 영통구청에서 제13회 조영순 작가의 개인전 ‘하이브리드회화전’이 열리고 있다.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전공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수원미협 대외협력분과위원장이자 수원문화도시포럼 이사로 활동하기도 한 작가가 개척한 ‘하이브리드(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요소를 둘 이상 뒤섞음)’ 장르를 소개하는 자리다. ‘하이브리드’는 둘 이상의 요소를 섞는 개념이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예술과 일상생활 사이에 있는 경계가 허물어지고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구분이 사라졌다. 예술엔 혼성적 성향이 강해졌고, 현대 미술에선 모든 것을 상호적으로 텍스트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었다. 추상,구상, 기호, 도상, 상징 등이 "존재연결망"으로 혼합된 하이브리드 회화로 시공간을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시대를 대변한다. 조 작가의 대표작 ‘패러다임의 시작(2023)’역시 이런 ‘하이브리드’ 성향이 잘 나타난다. ‘Happy D
 
								
				하이브리드와 안전제일을 기조로 한 제24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집행위원장 신철, BIFAN)가 ‘눈으로 만난 영화제’라는 새로운 분위기 속 지난 16일 막을 내렸다. 올해 BIFAN은 상영관과 행사장 등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입장할 수 없었고, 그러다 보니 ‘눈으로 만난 영화제’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를 대표하는 행사 GV(관객과의 대화)는 총 53회 진행됐다. 일반 GV 33회, 영상 GV 9회, 메가토크 8회, 무대인사 2회, 마스터 클래스 1회가 진행되는 과정 속에 “30초 만이라도 마스크를 내려주면 안돼요?”라는 요청도 있었다. 그러나 영상 GV와 마스터 클래스를 제외한 43회 GV 행사 중 잠시 마스크를 내린 뒤 다시 착용하는 사례는 단 한 차례뿐이었고, 사전 고지한 대로 마스크 착용 및 거리두기를 지킨 가운데 열렸다. 마이크 중복 사용을 피하기 위해 카카오 오픈채팅을 통해 질문을 받고, 모더레이터가 대신 묻고 감독·배우가 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는 코로나 19 감염 확산 및 악플 난무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 실제 GV 시간에 만난 배우 이연희, 이동휘, 하준, 조병규, 김규종, 오지호, 신소율 등은 마스크를 쓰고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