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가 故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 2만3000여 점을 통합·소장할 별도의 기증관을 건립키로 하고, 후보지를 서울 용산과 송현동 2곳으로 압축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일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 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을 위한 기본원칙 및 활용 기본방향’ 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활용방안을 설명했다. 황 장관은 “기증품을 통합적으로 소장·관리하면서, 분야와 시대를 넘나드는 조사·연구·전시·교류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증관이 필요하다”며 “기증품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건립되는 기증관과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과의 유기적 협력체를 구축해 새로운 장을 열겠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 4월 이건희 회장 유족 측이 문화재 및 미술품 등 총 2만3181점을 기증한 이후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별도 전담팀과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위원회’를 운영해왔다. 총 10차례 논의를 거친 위원회는 기증품 활용에 대한 주요 원칙을 정립하고 단계별 활용방안을 마련한데 이어, 기증관이 들어설 부지로 용산과 송현동 2곳이 최적이라 제안했다. 황희 장관은 “서울 용산과 송현동 부지 모두 국내 최고 수준의 전문
 
								
				경기도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상당수의 유물들이 기증 절차를 통해 들어온 것들이다. 개인이나 단체 등에게 있어 그 가치가 얼마나 소중할 지는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다. 이에 본보는 기증된 유물들의 가치와 기증자들의 뜻을 기리는 의미에서 특별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도박물관 전시실의 기증 유물을 중심으로, 총 10회에 걸쳐 그 내용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2019년 8월 조선의 명재상 황희(黃喜, 1363-1452)의 셋째 아들인 황수신(黃守身, 1407-1467)의 묘에서 수습된 백자청화 ‘성화3년명’ 황수신묘지(白磁靑畵 '成化3年'銘 黃守身 墓誌)’가 경기도유형문화재 제358호로 지정됐다. 지난 2012년 박물관에 기증된 이후 7년 만의 큰 경사였다. 제일 먼저 장수황씨 열성공파 문중의 황준하총무님께 전화를 걸어 이 소식을 전했다. 오랫동안 기다리셨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총무님, 문중에서 기증해주신 황수신 할아버님의 묘지가 드디어 경기도의 보물이 되었습니다.” 나의 달뜬 목소리에 '좋은 소식을 전해주어 고맙다. 그동안 고생 많으셨다”고 화답해주시는 수화기 너머의 목소리에도 기쁨이 가득했다. 기증 담당자로서 덩달아 기분 좋고, 보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