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큰 가을 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23일은 절기상 서리가 내리는 시기를 뜻하는 ‘상강(霜降)’이다. 음력으로는 9월에 들고 양력으로 10월 23일 무렵이며,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한로(寒露)’와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입동(立冬)’ 사이의 시기다. 가을의 마지막 절기인 상강, 이 시기는 쾌청한 날씨가 이어지는 대신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때이다. 수증기가 지표에서 엉겨 서리가 내리고, 온도가 더 낮아지면 얼음이 얼기도 한다니 요즘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이유를 알 것도 같다. 예로부터 단풍이 절정에 이르고 국화가 활짝 피는 늦가을인 이맘때 향긋한 향을 느낄 수 있는 국화차, 국화주, 국화전을 먹었다고 한다. 국화는 두통을 완화하고 침침한 눈을 밝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 감을 말리기 좋은 시기라 곶감과 홍시를 먹고, 추어탕으로 몸의 따뜻한 기운을 보강했다고 한다. 한편, 기상청은 상강인 오늘 전국이 대체로 맑을 것으로 내다봤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
예로부터 차(茶)는 시간과 시간을 이어주며 마음을 맑게 하고 생각을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촉매제로 여겨졌다. 부쩍 추워진 날씨에 옷장 앞에서 코트를 꺼내야 할지 패딩을 꺼낼지 고민하는 요즘,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절기에 어떤 차를 마시면 건강에 도움이 될까. ◇면역력 높이는데 도움되는 배·모과차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면 가래가 생기는데 이때 배와 모과로 끓인 차를 마시면 한결 편안해진다. 배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루테올린 성분은 항염증 효과가 있어 가래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 항산화 성분도 면역력에 좋다. 또 모과에 들어있는 사과산과 주석산, 구연산 등 유기산은 침이나 담즘, 췌장액 등의 소화 효소 분비 촉진에 도움이 된다. 항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면역력을 높여주기도 한다. ◇기침·가래 잦아드는 생강차 한입 베어 물면 매운 맛과 향이 나는 생강. 알싸하고 얼얼한 맛을 내는 주성분인 진저롤과 쇼가올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또 기침과 가래를 잦아들게 하고 구역질이 나는 증상을 진정시킨다. 생강을 꾸준히 섭취하면 잇몸에 생기는 치은염, 두피에 생기는 두피염뿐 아니라 건조한 계절 트러블과 피부염을 예방
어린 시절 학교 앞 문구점이나 길거리에서 사 먹었던 별 모양, 하트모양부터 유명 만화 캐릭터가 새겨진 달고나가 최근 관심을 모으며 다시 유행하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서 참가자들이 진행하는 미션 중 하나로 달고나 뽑기가 등장하면서 중장년층에게는 추억의 향수를, MZ세대(밀레니얼+Z세대)에게는 새로운 재미를 선사하고 있다. 달고나는 지역별로 달고나, 뽑기, 쪽자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이다. 불 위에 올린 국자에 설탕을 녹인 뒤 베이킹소다를 섞어 휘휘 저으면, 부풀어 오르는 캐러멜을 납작하게 눌러 모양을 찍어내는 방식이다. 밝은 갈색 빛에 적당히 부드러우면 만들기에 성공한 것이지만, 잘 만들겠다고 욕심을 부려 오래 올려놓으면 금세 거무튀튀하게 변하고 특유의 단맛이 아닌 쓴맛이 나는 경우도 많다. 특히 1970~1980년대에 길거리 간식으로 인기가 많았는데, 노포 주인이 직접 만들어서 모양을 찍어 주거나 문구점 앞에 비치된 국자로 직접 만들어 먹는 방식이었다. 노포 주인이 만들어주는 경우에는 바늘이나 이쑤시개로 모양을 맞게 쪼개면 하나 더 주기도 해 침을 묻혀가며 뽑기하는 재미를 더했다. 이때는 연탄불로 만들었다
전국이 흐리고 곳곳에 비가 내리는 10월 8일은 절기상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하는 시기인 ‘한로(寒露)’이다. 음력으로는 9월, 양력으로는 10월 8~9일 무렵이며 공기가 차츰 선선해짐에 따라 이슬(한로)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로 변하기 직전의 시기라고 한다. 천문학적으로 태양이 황경 195도의 위치에 올 때이며, 우리나라 24절기 중 17번째에 해당한다. 가을 절기인 한로 무렵에는 찬이슬이 맺힐 시기이기 때문에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추수를 끝내야 하므로 농촌에서는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이다. 또 계절적으로는 가을 단풍이 짙어지고, ‘한로가 지나면 제비도 강남으로 간다’는 옛 속담처럼 제비 같은 여름새와 기러기 같은 겨울새가 교체되는 때이다. 특히 중국에서 유래한 명절 중양절과 비슷한 시기에 드는 때가 많아 중양절 풍속인 머리에 수유를 꽂거나 높은 데 올라가 고향을 바라본다거나 하는 내용이 한시에 자주 등장한다. 붉은 자줏빛의 수유열매가 요사스러운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력(辟邪力)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 높은 산에 올라가 머리에 수유를 꽂는 것이다. 또 한로와 다음에 오는 절기인 상강(霜降) 무렵에 서민들은 양기를 돋우는데 좋은 제철 음식인 추어
전국 곳곳에 가을비 내리는 9월 7일은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백로(白露)’이다. 흰 이슬이라는 뜻의 백로는 이때쯤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됐다. 무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처서(處暑)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추분(秋分) 사이의 시기로 음력으로는 8월, 양력으로는 9월 9일 무렵이다. 천문학적으로 태양이 황경 165도를 통과할 때이며, 우리나라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 절기에 해당한다. 대체로 백로 무렵에는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고 하는데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한다. 백로가 지나면 가을이 한창인 중추(仲秋)인데 이때는 서리가 내리는 시기이다. 벼 이삭은 늦어도 백로 전에 패어야 하는데 서리가 내리면 바람이 불어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여간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니었을 것이다. 예로부터 선조들은 백로 전에 서리가 오면 농작물이 시들고 말라버리는 것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제주도 속담 ‘백로전미발(白露前未發)’은 이때까지 패지 못한 벼는 더 이상 크지 못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백로는 대개 음력 8월 초순에 들지만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0)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있다. 올해 제2회 ‘푸른 하늘의 날’을 맞아 일상 속에서 탄소 배출과 미세먼지를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해 첫 지정된 ‘푸른 하늘의 날’은 매년 9월 7일이며, 대기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오염 저감과 청정대기를 위해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자는 취지인 국제연합(UN) 지정 기념일이다. 9월 4일부터 10일까지 ‘푸른하늘의 날’ 주간이다. 우리나라가 제안해 지정된 첫 UN 공식 기념일로, UN 제2위원회(경제·개발·금융)에서 채택된 최초의 대기오염 관련 결의이기도 하다. 2019년 9월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세계 푸른 하늘의 날’을 국제사회에 제안했고, 우리 정부도 결의안을 공식 제출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대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공동연구와 기술적 지원을 포함한, 국경을 넘나드는 국제협력과 공동대응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이후 같은 해 12월 제74차 유엔 총회에서 매년 9월 7일을 ‘푸른 하늘을 위한 세계 청정 대기의 날(International Day of Cle
“이메일을 로그인하고 보니 ‘99+’라는 표시가 눈에 띄네요. 지금 여러분의 메일함은 어떤가요?” 요즘 뉴스에서 ‘탄소중립’이라는 이야기를 쉽게 들을 수 있다. 탄소제로(Carbon Zero)라고도 하는데 개인과 회사,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지난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행동’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됐다. 기후변화 분야 최고 전문기구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지구의 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전 세계 모든 국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는 연구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추구하는 가운데 정부도 지난해 10월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경기도 역시 올해 5월 24일 환경부와 탄소중립 지방정부 실천연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탄소중립 실천 특별세션’에 참여해 국내 243개 모든 지방정부와 함께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쉽게 동참할 수
지난달 영국에서 무리한 교배를 통해 눈 없이 태어난 티컵 강아지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영국에서 초소형견이 꾸준한 인기를 모으며, 무리한 교배로 작은 크기의 강아지들이 태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장애견들이 버려지고 있다는 점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다. 영국 매체 메트로, 데일리스타 등 외신에 따르면 두 눈 없이 태어난 티컵 강아지는 생후 한 달이 지나도 몸무게가 약 450g을 넘지 못하는 아주 작은 크기였다. 또 자궁과 방광이 붙은 상태로 보호소에서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 이 강아지는 4파운드(약 1.8kg) 이상 살이 찌면서 건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도 성견이 되더라도 몸집이 작은 반려견을 원하는 이들의 수요는 여전히 높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10여 년 전만 해도 찻잔 속에 들어갈 만한 크기의 강아지인 티컵 강아지가 유행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작은 강아지들이 선천적으로 장기부전, 호흡기 질환, 약한 뼈 등 건강상 문제가 있다고 경고한다. 사람들이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개를 인위적으로 골라 교배한 결과가 부정적으로 나타난 셈이다. 잉글리쉬 불도그나 퍼그 같이 얼굴이 납작한 단두개종은 기도가 짧아 숨을 헐떡이는 등 호흡기폐쇄증후군에 취
요즘 길을 걷다 보면 살랑살랑 불어오는 선선한 바람에 가을이 성큼 다가왔음을 느낄 수 있다. 오는 23일은 여름이 지나 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처서(處暑)이다.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입추(立秋)와 가을의 기운이 완연한 백로(白露) 사이의 시기로, 음력으로는 7월 15일, 양력으로는 8월 23일 무렵이다. 우리나라 24절기 중 열네 번째 절기에 해당한다. 이때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 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여름이 가고 가을이 드는 계절의 순행을 느낄 수 있다. 예로부터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를 했다. 또 선조들은 이 무렵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음지(陰地)에서 말렸다고 한다. 특히 처서 무렵의 날씨는 한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데, 가을의 기운이 왔다고는 하나 햇살은 여전히 왕성해야 하고 날씨는 쾌청해야 한다. 처서 무렵이면 벼의 이삭이 패는 때이고, 이때 강한 햇살을 받아야만 벼가 성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날씨는 농사의 풍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부들
오는 14일은 음력 7월 7일로, 전설 속 헤어져 있던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이다. 어릴 적, 까마귀와 까치가 날개를 펴서 다리를 놓아 견우와 직녀가 만나도록 도와줬다는 전설은 동화책이나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이 다리가 바로 ‘오작교(烏鵲橋)’이다. 옛날 옛적에 견우와 직녀가 사랑을 속삭이다가 옥황상제의 노여움을 사서 1년에 한 번씩 칠석 전날 밤에 은하수를 건너 만났다는 얘기다. 중국 고대 설화가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강서 덕흥리 고구려고분벽화(408년)에 은하수 사이 견우와 개를 데리고 있는 직녀의 그림이 발견됐다. 은하수의 양쪽 둑에 있는 견우성과 직녀성이 1년에 한 번 만난다는 칠석에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는 전통적인 행사를 갖는다. 칠석은 양수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로 여겨지며, 별자리를 각별히 생각하는 날이어서 수명신(壽命神)으로 알려진 북두칠성에 수명장수를 기원하고 가정에서는 밀전병과 햇과일 등 제물을 차려놓고 고사를 지내거나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무병장수와 가내 평안을 빌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공민왕 때 궁중에서 견우와 직녀성에게 제사를 지내